부동산
구치소 담장 옆에 신혼희망타운…성동구치소 용지 내년 착공
입력 2020-02-04 12:01 

서울의 마지막 교정시설이었던 옛 성동구치소 부지가 주거·문화·업무가 어우러지는 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주거공간의 약 절반을 차지할 신혼희망타운을 만들기 위해 설계안을 민간에서 공모한다. 다만 '역사적 가치'가 있다는 이유로 성동구치소 부지 일부에 기존 구치소 담장과 감시탑 등을 남겨두기로 해 "흉물인 교정시설을 남겨두려 하느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4일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성동구치소 땅에 '신혼희망타운'(면적 2만1372㎡)에 대한 설계안을 마련하기 위해 설계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총 700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최종 당선작은 심사위원단의 1~2차 심사를 거쳐 오는 4월 선정된다. 당선팀에겐 '신혼희망타운' 기본·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당선작을 기반으로 2021년 하반기 착공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를 포함해 용지 전체(8만3777㎡)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올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라며 "나머지 잔여용지에도 문화·업무 공간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사업 추진을 위해 성동구치소 용지를 '사전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전협상이란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해 인센티브(용적률 인상) 등의 혜택을 주는 대신 공공기여를 받는 제도를 말한다. 이번에 성동구치소 용지는 주거공간에 한해 기존 2종에서 준주거 혹은 3종으로 종상향이 1~2단계 이뤄진 덕분에 아파트 가구를 더 늘리게 됐다. 신혼희망타운 700가구와 민간 분양분 600가구를 포함해 총 1300가구가 들어서는 이유다.

아울러 업무시설도 창업공간 등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박성수 송파구청장은 이곳에 복합문화시설과 청년일자리 지원시설을 유치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성동구치소 왼편은 모두 기부채납 용지(SH공사가 서울시에 기부)로 공공시설이 들어선다. 앞으로 어떻게 공공시설을 꾸려나갈지에 대한 연구용역이 3월 발주될 예정이다.
다만 공공시설1(사진)에는 성동구치소 흔적을 남기기 위해 구치소 담장 및 일부 동, 감시탑 등이 보존된다. 원형을 보존하는 리모델링을 통해 문화시설을 만들고 대중에 개방하는 것이 서울시 계획이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은 "독립운동가를 수용했던 곳도 아니고 범죄자를 수용했던 곳인데 보존가치가 있느냐"며 기존 구치소 건물을 모두 허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또 아파트 바로 인근에 구치소 건물이 있는 것이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편 성동구치소는 1977년 개청 이후 문정법조단지로 이전한 2017년 6월26일까지 40년 간 서울 동북지역의 미결수 수용을 주목적으로 사용됐다. 2017년 6월부터 문정법조단지 서울동부구치소가 그 기능을 대신하며 성동구치소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지난 9월에는 철거를 앞두고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성동구치소 용지는 서울 지하철3·5호선 환승역인 오금역과 도보 2분 거리(200m)에 위치해 있다. 인근에는 오금공원과 송파도서관이 자리잡고 있어 입지가 좋다는 평이다.
[나현준 기자 / 이축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