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작년 `대·대·광` 주택 증여 역대 최다…"세금 내느니 차라리 자식에서 물려준다"
입력 2020-01-29 09:07 
'대·대·광' 지역 주택 증여거래량 추이 [자료= 한국감정원·경제만랩]

지난해 주택시장 열기가 뜨거웠던 대전, 대구, 광주 이른 바 '대·대·광' 지역에서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주택 증여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경제만랩이 한국감정원의 지난해 지역별 주택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광주의 주택 증여거래량은 3385건으로 2018년(2867건)에 비해 18.07% 늘었다. 대전과 대구도 각각 9.39%(2342건→2562건), 3.55%(4705건→4872건) 상승했다.
'대·대·광'에서 주택 증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구·군 지역은 대전 유성구로 집계됐다. 유성구 증여거래량은 2018년 366건에서 지난해 802건으로 1년 사이 119.13%나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의 주택 증여거래량은 2018년 2만4765건에서 2019년 2만637건으로 16.67% 줄었다.
'대·대·광'에서 주택 증여거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한 이유는 정부가 양도세 중과와 보유세 등을 강화한 2018년부터 세금부담이 커져 다주택자들 사이에서 매도 대신 자녀에게 증여하려는 움직임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가주택을 보유한 1주택자가 절세 목적으로 부부간 증여를 통해 공동명의로 전환한 것도 또 다른 이유로 꼽힌다.
오대열 경제만랩 팀장은 "보유세, 양도세 강화 등 정부의 고강도 규제가 되레 증여거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집값이 꾸준히 오를 것이란 기대심리도 시장에 팽배한 만큼 증여거래 증가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