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이상철 기자
2023년부터 도입하는 프로야구 샐러리캡(총연봉상한제)은 ‘상한선만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장기적으로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이 바라는 ‘하한선도 추가할 계획도 있다.
KBO는 21일 이사회를 열어 샐러리캡 제도 시행을 확정했다. 샐러리캡은 한 팀 선수들의 연봉 총액을 제한하는 제도로 프로야구 출범 후 처음으로 채택됐다. 국내에서는 프로배구, 프로농구가 시행 중이다.
샐러리캡 도입은 위기를 맞은 KBO리그에 ‘새로운 흥행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구단의 재정적인 부담을 줄이면서 팀 간 전력 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KBO도 리그 상향 평준화를 위해서”라고 샐러리캡 도입 명분을 강조했다.
KBO 이사회는 구단과 선수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했다. 상한 금액을 두되 ‘여유가 있도록 했다. 2021년과 2022년의 외국인선수와 신인선수를 제외한 각 구단의 연봉 상위 40명의 평균금액의 1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한 금액으로 설정했다.
KBO가 2018년과 2019년 연봉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한 구단만 샐러리캡 상한 금액을 초과했다. 2022년까지 유예기간이 있는 만큼 각 구단이 연봉 총액을 잘 조정하면 큰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는 게 KBO의 주장이다.
특히 샐러리캡을 절대 넘지 않아야 하는 ‘하드캡이 아닌 초과 시 부유세를 내야 하는 ‘소프트캡으로 운영한다. 메이저리그(MLB)처럼 상한 금액을 넘어도 리그에 정상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1회 적발 시에는 초과분 50%의 제재금이 부과되는 만큼 우승을 목표로 공격적인 투자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선수협이 희망한 하한선이 빠졌다. 이대호(롯데) 선수협 회장은 지난해 12월 샐러리캡에 상한 금액은 물론 하한 금액도 들어가야 한다”라며 조건부 수용 의사를 밝혔다.
하한 금액은 리그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단이 ‘최소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의미다. 소프트캡을 도입한 프로배구의 경우, 하한선을 지키지 않은 구단에 제재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하한 금액 설정 시 키움 같이 ‘스몰마켓 구단의 씀씀이가 커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선수의 몸값과 직결된다. 선수협이 강하게 요구하는 이유다.
KBO는 샐러리캡의 첫발을 떼는 만큼 최대한 완화했다. 그렇지만 고정된 건 아니다. 샐러리캡을 시행하면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생각이다. 하한 금액 도입도 그중 하나다. 류대환 KBO 사무총장은 (샐러리캡을 시행한 뒤) 추후 하한 금액을 추가할 수도 있다”라고 전했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3년부터 도입하는 프로야구 샐러리캡(총연봉상한제)은 ‘상한선만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장기적으로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이 바라는 ‘하한선도 추가할 계획도 있다.
KBO는 21일 이사회를 열어 샐러리캡 제도 시행을 확정했다. 샐러리캡은 한 팀 선수들의 연봉 총액을 제한하는 제도로 프로야구 출범 후 처음으로 채택됐다. 국내에서는 프로배구, 프로농구가 시행 중이다.
샐러리캡 도입은 위기를 맞은 KBO리그에 ‘새로운 흥행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구단의 재정적인 부담을 줄이면서 팀 간 전력 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KBO도 리그 상향 평준화를 위해서”라고 샐러리캡 도입 명분을 강조했다.
KBO 이사회는 구단과 선수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했다. 상한 금액을 두되 ‘여유가 있도록 했다. 2021년과 2022년의 외국인선수와 신인선수를 제외한 각 구단의 연봉 상위 40명의 평균금액의 1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한 금액으로 설정했다.
KBO가 2018년과 2019년 연봉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한 구단만 샐러리캡 상한 금액을 초과했다. 2022년까지 유예기간이 있는 만큼 각 구단이 연봉 총액을 잘 조정하면 큰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는 게 KBO의 주장이다.
특히 샐러리캡을 절대 넘지 않아야 하는 ‘하드캡이 아닌 초과 시 부유세를 내야 하는 ‘소프트캡으로 운영한다. 메이저리그(MLB)처럼 상한 금액을 넘어도 리그에 정상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1회 적발 시에는 초과분 50%의 제재금이 부과되는 만큼 우승을 목표로 공격적인 투자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선수협이 희망한 하한선이 빠졌다. 이대호(롯데) 선수협 회장은 지난해 12월 샐러리캡에 상한 금액은 물론 하한 금액도 들어가야 한다”라며 조건부 수용 의사를 밝혔다.
하한 금액은 리그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단이 ‘최소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의미다. 소프트캡을 도입한 프로배구의 경우, 하한선을 지키지 않은 구단에 제재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하한 금액 설정 시 키움 같이 ‘스몰마켓 구단의 씀씀이가 커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선수의 몸값과 직결된다. 선수협이 강하게 요구하는 이유다.
KBO는 샐러리캡의 첫발을 떼는 만큼 최대한 완화했다. 그렇지만 고정된 건 아니다. 샐러리캡을 시행하면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생각이다. 하한 금액 도입도 그중 하나다. 류대환 KBO 사무총장은 (샐러리캡을 시행한 뒤) 추후 하한 금액을 추가할 수도 있다”라고 전했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