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득 따라 건강수명 11년 격차
입력 2020-01-15 13:53  | 수정 2020-01-15 13:56

소득 높낮이에 따라 건강수명도 최대 11년이나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보건사회연구원의 '포용복지와 건강정책의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건강불평등은 소득, 사회계급, 학력, 지역 차에 따라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건강 지표인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은 소득계층별, 지역별 격차가 뚜렷했다. 기대수명은 0세 출생아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이며 건강수명은 기대수명 중 질병이나 부상으로 고통받은 기간을 빼고 건강한 삶을 유지한 기간을 말한다.
지난 2010∼2015년 건강보험공단 자료와 2008∼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 인구의 기대수명은 85.1세, 건강수명은 72.2세였지만 소득 하위 20% 인구의 기대수명은 78.6세, 건강수명은 60.9세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저소득층보다 기대수명은 6년, 건강수명은 11년이나 길었다. 지역별로는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기대수명이 가장 긴 지역과 가장 짧은 지역간 격차는 2.6년이었고 건강수명은 차이는 5.3년이었다.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수준을 보여주는 자살 사망에서도 불평등이 드러났다. 2015년 학력에 따른 연령표준화 자살 사망률을 보면 65세 미만 남성 인구에서 전문대 졸업 이상 학력을 가진 이들은 10만명당 24.5명이 자살했지만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자는 10만명당 166.7명이 자살했다.

고혈압 등 만성질환 등에서도 차이는 관찰됐다. 2017년 국민건강통계자료에 따라 소득 상위 20%와 소득 하위 20%를 비교했을 때 양측의 현재흡연율은 각각 15.9%와 26%였고,우울감 경험률은 각각 9.1%와 17.4%로 고소득층의 건강관리 수준이 훨씬 높았다.
보고서는 "다양한 건강 결과와 건강 행동에서 사회적 불평등이 뚜렷이 관찰되는데 이는 의료보장 강화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문재인 케어로 대표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통해 의료에서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료급여 수급자 선정의 까다로운 기준과 노동시장 불평등, 주거 불안정, 전통적 가족 해체로 인한 건보료 장기 체납 문제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