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호주, 두 달째 산불 계속…국가비상사태 선포
입력 2020-01-03 10:51  | 수정 2020-01-10 11:05

호주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에 사상자가 연일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에 발생한 이 산불은 이상고온과 강풍을 타고 두 달째 지속됐습니다.

호주 정부는 현지시간으로 오늘(3일) 오전 7시부터 일주일을 이번 산불에 대처하기 위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앞서 영국 BBC방송은 현지시간으로 그제(1일) 자동차 안에서 발견된 2명의 희생자를 포함해 지난 30일부터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에서만 최소 8명이 화재로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 산불방재청이 산불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을 강제로 대피시키거나 도로를 봉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피해지역인 뉴사우스웨일스주는 베이트맨즈 베이 인근을 대상으로 발령했던 `관광객 대피령`을 나우라부터 빅토리아주 경계선까지 1만4000㎢로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산불로 현재까지 최소 18명이 숨졌으며, 총 900채 이상의 가옥이 소실되는 등 재산피해도 상당합니다. 화재로 인한 피해가 악화하면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아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호주 국민 대다수는 산불을 촉발한 근본 원인으로 꼽히는 기후 변화 문제를 시급한 위협으로 보고 정부의 강력한 조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리슨 총리는 산불의 원인보다는 화재 피해 대응과 호주 기업 보호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습니다.

모리슨 총리는 지난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이번 화재가 역대 최악의 재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호주는 과거부터 이와 비슷한 재해를 겪어왔다며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부인했습니다.

앞서 일각에선 산불사태와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석탄 산업 감축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으나 모리슨 총리가 지난 12월 거부했습니다.

전 세계 석탄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호주는 세계 최대 석탄 및 액화천연가스 수출국입니다.

모리슨 정부 관료들도 화재와 기후변화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환경운동가들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리처드 디 나테일 호주 녹색당 대표는 의회 회기가 시작하는 대로 이번 산불에 대한 책임을 조사하기 위한 왕립조사위원회 설치를 요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