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아베 총리 "한일 정상회담서 민간교류 지속 필요성 강조…文도 동의"
입력 2020-01-02 16:44 
[사진 = 연합뉴스]

지난달 24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민간교류를 지속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다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밝혔다.
아베 총리는 1일 TV아사히와의 인터뷰에서 "(한일 양국은) 이웃 국가이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부딪칠 때도 있지만 민간교류는 계속해야 한다는 것을 (한일 정상회담 때) 강하게 주장했다"며 "그 점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도 동의해줬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에 대해 "매우 언행이 부드러운 신사"라고 재차 평가하며 "꼭 (한일 간) 현안을 해결해서 양국 정상이 더 자주 다양한 과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과제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27일 TV도쿄에 출연해서도 문 대통령에 대해 같은 평가를 한 바 있다.
아베 총리는 "일한(한일)은 이웃 국가로 중요한 관계"라며 "특히 북한 정세가 긴박해지고 있어 일한, 일미한(한미일) 간 협력이 당연히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의 발언은 민간교류와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한일 간 공동인식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한일 갈등 핵심 현안인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해서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일본과 한국 간 전후 관계의 시작은 1965년 일한 기본조약인 청구권협정"이라며 "일본과 한국 간에 중요한 이 조약을 기초로 일한 관계가 발전해왔다. 그러나 그 기초가 붕괴하는 것과 같이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한국 측에 한일관계를 건전한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달라고 말했다"며 "상호 주장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회담 자체는 긴장된 분위기일 때도 있었지만, 상호 간에 대화를 통해 해결하자는 점에선 일치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도 일본인 납북자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전제조건 없이 만나 회담하고 싶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