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정상회담 개최로 이른바 '한한령'으로 불리는 중국의 한국산 제품과 관광에 대한 규제가 해제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수혜 업종에 대해 관심이 모이고 있다. 증권가에선 유통, 게임, 엔터테인먼트 업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1시간가량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달 초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최초로 방한한 직후 열리는 정상회담인 데다 내년 시 주석의 방한까지 추진되고 있어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증권가에선 한한령이 해제될 경우 우선 면세점과 화장품 업계가 수혜 업종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박희진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현재 국내 면세점은 중국인 보따리상 '다이궁'에 의존하고 있어 매출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지만 다이궁 유치를 위한 면세점 간 수수료 경쟁으로 수익성은 좋지 않다"며 "한한령 해제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규제가 해소될 경우 돌아온 '유커'들로 인해 면세점과 화장품 업계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켜봐야겠지만 의류 업종도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호텔 업계 역시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중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서울 내 관광호텔이 우후죽순처럼 건설됐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사드 사태로 인해 관광객이 줄면서 호텔은 공실 압박에 시달려야 했다.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이기훈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마디로 말하면 영업이익이 현재의 2배 수준까지 커질 수 있다고 보면 된다"며 "그동안 한국 콘텐츠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넷플릭스에 대한 의존이 커졌는데 한류 콘텐츠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중국 시장이 열리면 그만큼 높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게임업계 역시 대표적인 수혜 업종이다. 중국 정부는 사드 사태가 본격화된 2017년 3월 이후 국내 게임사에 단 한 건의 판호도 발급해주지 않았다. 한 애널리스트는 "판호 발급이 시작되면 업계에 의미 있는 성장이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제윤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1시간가량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달 초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최초로 방한한 직후 열리는 정상회담인 데다 내년 시 주석의 방한까지 추진되고 있어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증권가에선 한한령이 해제될 경우 우선 면세점과 화장품 업계가 수혜 업종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박희진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현재 국내 면세점은 중국인 보따리상 '다이궁'에 의존하고 있어 매출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지만 다이궁 유치를 위한 면세점 간 수수료 경쟁으로 수익성은 좋지 않다"며 "한한령 해제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규제가 해소될 경우 돌아온 '유커'들로 인해 면세점과 화장품 업계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켜봐야겠지만 의류 업종도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호텔 업계 역시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중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서울 내 관광호텔이 우후죽순처럼 건설됐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사드 사태로 인해 관광객이 줄면서 호텔은 공실 압박에 시달려야 했다.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이기훈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마디로 말하면 영업이익이 현재의 2배 수준까지 커질 수 있다고 보면 된다"며 "그동안 한국 콘텐츠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넷플릭스에 대한 의존이 커졌는데 한류 콘텐츠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중국 시장이 열리면 그만큼 높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게임업계 역시 대표적인 수혜 업종이다. 중국 정부는 사드 사태가 본격화된 2017년 3월 이후 국내 게임사에 단 한 건의 판호도 발급해주지 않았다. 한 애널리스트는 "판호 발급이 시작되면 업계에 의미 있는 성장이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제윤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