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2일) 합동감식반과 5·18단체 관계자 등에 따르면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 합장묘 1기에서 80여구의 유골이 발견됐습니다.
40여구는 땅속에 만들어진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 안에서, 나머지 40여구는 콘크리트 구조물 위를 덮고 있던 봉분 흙더미에서 발견됐습니다.
41구의 유골이 안치된 것으로 기록(광주교도소)된 합장묘에서 신원미상의 유골 40여구가 추가로 발견된 셈입니다.
일부 5·18단체 관계자들은 5·18 당시 행방불명된 사람들의 유골일 가능성을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머리에 구멍이 있거나 크기가 작은 두개골이 나온 것으로 알려진 흙더미 속 유골 40여구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암매장지로 지목돼 왔는데 유골함 위에 또 다른 유골을 매장한 건 비정상적이라는 것이 매장 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반면 검경, 군, 의문사조사위 등으로 이뤄진 합동감식반 관계자는 유골의 상태와 매장 형태 등을 고려했을 때 5·18 연관성을 속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우선 봉분의 크기와 유골이 매장된 형태를 보면 시신 상태에서 묻어 유골이 됐다기보다 유골 자체를 묻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합동감식반의 판단입니다.
또 흙더미에 묻혀있던 유골의 상태가 1975년 조성돼 같은 조건으로 묻혀있던 다른 유골보다 부식이 심한 상태로 발견된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1975년 이전에 사망한 사람들일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입니다.
1971년 북구 문흥동으로 이전하기 전인 동구 '동명동 옛 광주교도소' 당시 수감 중 숨진 4.3사건 희생자의 유골일 가능성이 나옵니다.
합동감식반 관계자는 "두개골에서 발견된 구멍은 총상 등 외상의 흔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형태"라며 "오랜 세월로 인해 부서진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작은 크기의 두개골에 대해서도 "두개골 크기만으로 성인과 아동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합동감식반은 유전자 검사 등 정밀 감식을 위해 발견된 유골 80여구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냈습니다.
국과수는 오는 23일 합동조사반, 5·18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감식 기법과 참관 대상 등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