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주하의 11월 8일 뉴스초점-비리복마전 오명 언제 벗나
입력 2019-11-08 20:07  | 수정 2019-11-08 20:44
면접도 없이 임원 자녀를 떡하니 채용하는가 하면, 임원 조카를 채용하기 위해 서류심사 합격자 배수를 임의로 조정. 그런가 하면 자체 홈페이지에 딱 하루만 채용공고를 내고는 결국 지자체 직원의 자녀 2명을 채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엔 또 어디냐고요? 정부가 최근 4년간 농협과 수협, 축협 등 609개 지역조합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입니다. 무려 1,040건의 채용 비리가 적발됐죠. 농·수·축협 조합의 비리는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조합장의 막강한 권력이 문제니까요.

억대 연봉과 더불어, 조합과 관련된 각종 이권 사업의 최종 결정권, 직원들의 채용과 인사, 예금 대출과 금리 결정까지. 말 그대로 제왕적 권력을 갖고 있거든요. 이러니 온갖 불법과 편법을 저지르고도 조합장이 되려고 하는 거겠죠. 여기에는 특히 느슨하고 후진적인 선거법도 한몫합니다.

조합장 선거는 다른 공직과 달리 유권자 규모가 작기 때문에 예비 후보 등록제도 없고, 연설이나 토론회도 못 엽니다. 후보 등록 후 단 2주 동안 선거운동을 하는 게 전부지요. 그러니 조직에 대한 제대로 된 비판도, 정책도 내놓기 힘든 데다, 새 인물이 제대로 홍보할 수 있는 기회도 적어 기존 인물이 또 당선되고 또 당선돼, 심지어 10선까지 하는 경우까지 있는 겁니다.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정부가 개도국 지위 포기를 선언하면서 농촌의 위기감은 더욱 커졌지만 정작 발 벗고 나서야 할 조합은 비리 복마전이니, 과연 누구를 탓할 수 있겠습니까. 대체 언제까지 또 비리냐며 혀만 끌끌 차야 하는 걸까요. 문제는 앞으로도 달라질 그 어떤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