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MERS), 에볼라, 사스(SARS) 등 신종감염병이 끊임없이 발병하면서 국내 감염병 연구와 이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보건의료체계도 점차 진화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오늘(6일) '감염병 예방관리 아카데미'를 열고 감염병 대응을 총괄하는 긴급상황실(EOC)과 고위험병원체 검사시설인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실험실을 언론에 공개했습니다.
올해는 질본의 전신인 위생국이 설립된 지 125년째 되는 해입니다. 1894년 설립된 위생국은 정부가 최초로 감염병을 관리하기 시작한 기관입니다.
이후 1963년 국립보건원 설립을 계기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감염병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특히 2000년을 전후해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를 잇따라 겪으며 감염병 연구와 대응 체계가 한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대표적인 변화가 긴급상황실입니다. 긴급상황실은 2015년 메르스가 국내에서 유행한 이후 후속대책의 하나로 설치됐습니다. 올해 3월에는 위기대응 기반시설을 갖춘 별도 건물을 신축해 공식 개관했습니다.
이곳에서는 국내외 감염병 위기에 대한 관리·감독, 위기상황 초동대응, 관계기관과의 실시간 소통 등 감염병 위기 지휘본부(컨트롤타워)로서 총괄·조정 역할을 수행합니다.
2016년 리우올림픽 당시 지카바이러스 대책반부터 지난해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노로바이러스 감염대책반까지 각종 위기상황 대응이 긴급상황실을 통해 이뤄졌습니다.
상황실에 들어서면 눈길을 끄는 것은 대형모니터입니다. 감염병 의심환자 신고 등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상황 접수와 초동대응, 위기평가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위기 규모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를 판단하는 상황판단실과 진단관리팀, 위기분석팀, 검역관리팀 등 100여명의 직원이 이곳에서 상황을 공유하고 유기적으로 협력합니다.
긴급상황실 옆 건물에는 고위험병원체 검사시설인 BL3 실험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큰 시설입니다.
3등급 연구시설은 인체 위해성이 상당한 미생물을 이용해 실험을 하는 시설입니다. 현재 메르스, 지카, 탄저, 결핵 등 40종이 넘는 병원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도 이곳에서 바이러스의 변이 연구 등이 진행됐습니다.
연구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병원체를 직접 다루는 셀 실험과 이런 병원체를 동물에 감염 시켜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는 실험입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일반 기관에서 하지 못하는 연구를 이곳에서 한다고 보면 된다"며 "진단, 백신, 질병 원인의 기저 연구 등 감염병 관련 연구를 총괄하는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