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자리] 정규직은 35만 명 줄었다…무색해진 '일자리 정부'
입력 2019-10-29 19:30  | 수정 2019-10-29 20:28
【 앵커멘트 】
비정규직 근로자가 지난 1년간 86만 명 늘어나는 동안, 정규직 근로자는 35만 명이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통계 방식이 바뀌면서 생긴 착시효과라는 설명이지만, 일자리 정부라는 말이 무색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김경기 기자입니다.


【 기자 】
구청에서 운영하는 일자리센터에는 좋은 직장을 찾는 취업준비생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하지만, 양질의 일자리를 얻기는 더 어려워졌습니다.

지난 한해 비정규직이 87만 명 늘어나는 동안 정규직은 오히려 35만 명 줄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박석현 / 취업준비생
- "정규직을 뽑는 곳은 예전보다 더 줄어든 느낌이 들더라고요. 가면 갈수록 힘들어지는 거 같고…."

최악의 성적표가 나오자 정부는 통계청장은 물론 기획재정부 차관까지 긴급 브리핑을 열며 해명에 나섰습니다.


올해부터 통계 조사 방식이 바뀌면서 35만 명에서 50만 명이 새로 비정규직으로 분류된 데 따른 착시효과라는 겁니다.

▶ 인터뷰 : 강신욱 / 통계청장
- "금년도 3월부터 실시한 병행조사의 효과로 그동안 포착되지 않았던 기간제 근로자를 추가로 포착해 금년도 조사에만 약 35만~50만 명이 추가된 것으로…."

하지만, 정부의 주장을 받아들인다해도 올해 비정규직 증가 규모는 최소 37만 명에 이릅니다.

그동안 정부가 재정을 쏟아 만든 일자리 역시 노인 일자리 등 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 인터뷰(☎) :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경제상황이 너무 나쁘다 보니까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과 같은) 정책을 감당할 수 없었고, 결국 비정규직이 늘고 정규직이 주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특히, 정부가 그동안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적극 추진해온 점을 고려하면 일자리 정부라는 자평을 무색케 합니다.

MBN뉴스 김경기입니다. [ goldgame@mbn.co.kr ]

영상취재 : 김영환 VJ
영상편집 : 양성훈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