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완충지역 내 돼지열병 확진…커지는 수평 전파 가능성
입력 2019-10-10 11:20  | 수정 2019-10-17 12:05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고자 설정한 완충지에서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새로운 확진 사례가 나오자 수평 전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밤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된 14차 연천 농가는 기존 10㎞ 방역대 밖, 즉 고양·포천·양주·동두천·철원과 함께 설정된 완충 지역 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방역 당국의 삼엄한 방역대를 뚫고 완충 지역에서 곧바로 새로운 발생 사례가 나온 것을 두고 이미 ASF가 발생한 농가로부터 바이러스가 2차 전염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특히 이번 14차 발생 농가와 가장 가까운 기 발생 농가는 지난달 18일 확진된 연천 2차 농가인데, 이마저도 방역대 10㎞의 2배 이상인 25.8㎞나 떨어져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가 4∼19일인 점을 고려하면 2차 발생 농가를 덮친 바이러스의 잠복기도 지난 셈입니다.

따라서 그 이후 발병한 농가로부터 모종의 경로를 타고 멀리 연천까지 감염됐다거나, 아니면 북한으로부터 멧돼지 등으로 새로운 바이러스 남하가 이뤄졌다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농식품부는 "이전에 파주 등 다른 사례를 봤을 때 연천 두 번째 건도 그런(수평 전파) 경우가 아니냐고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잠복기란 바이러스가 가축 몸에 들어와 증상을 나타내는 기간으로, 야외에서는 훨씬 더 오래 살 수 있다"며 "지난달 발생한 연천 건의 잠복기는 지났지만, 거기서 나온 바이러스가 야외에 있다면 생존해 있을 수 있다. 바이러스는 이후 언제든 다시 또 가축에 들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또 멧돼지 남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공교롭게도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북한의 멧돼지에 의한 가능성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 중"이라며 "단정적으로 북한 멧돼지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날 하루 만에 완충 지역에서 연천을 뺀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달 18일에 이어 관내 두 곳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면서 완충 지역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됐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단호한 방역'을 위해 지난달 이미 돼지열병이 발생했던 연천은 처음부터 완충 지역이 아닌 전역을 수매·살처분 대상 지역으로 삼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방역 당국은 연천 지역에 대한 대책으로 48시간 돼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부랴부랴 내렸지만, 이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돼지 수매와 살처분이 진행돼 도축장 출하 등을 위한 가축 운반 차량의 이동은 일시이동중지명령에서 빠져 방역 구멍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것입니다.

농식품부는 이에 대해 "우리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발령할 때 진료나 사료 운반 등 불가피한 경우에는 소독을 거쳐 차량을 드나들도록 하고 있다"며 "수매와 예방적 살처분도 서둘러야 하는 방역 조치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철저히 소독하고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파주·김포·연천 수매 대상 농가 94곳 가운데 지금까지 수매를 신청한 농가는 90곳으로 집계됐습니다. 마릿수로 하면 총 3만1천318마리입니다.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을 위해 파주·김포의 모든 돼지와 연천의 발병 농장 10㎞ 이내 돼지를 대상으로 전량 수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파주에서는 25개 농장에 대한 수매가 진행됐고, 17개 농장에서 살처분이 진행됐습니다. 김포는 6개 농장에서 수매, 5개 농장에서 살처분이 각각 이뤄졌습니다.

당초 일부 농가의 반발이 나온 연천에서는 24개 농장에서 수매 신청이 들어왔습니다.

농식품부는 "수매는 신청 농가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수매를 마치는 농가별로 예방적 살처분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17일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전국에서 14만5천546마리가 살처분됐고, 이번 연천 14차 발생으로 9천320마리가 추가돼 총 15만4천866마리가 살처분 대상이 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