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서울지역 대출비중을 축소할 때 '지역 서민금융' 역할을 하는 저축은행들은 되레 서울 편중화 현상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 의무대출비율이 무색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19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영업구역별 저축은행 대출 비중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대출 중 서울지역 대출 비중은 부실사태로 구조조정이 한창이던 2012년 말 49.9%에서 올해 6월 말 57.1%까지 약 7.2%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상호금융 등 비은행 대출 취급기관의 서울지역 대출 비중은 같은 기간 28.4%에서 18.7%로, 은행권도 41.7%에서 38.3%로 떨어졌다.
이 같은 현상은 저축은행 부실 사태 이후 등장한 대형 저축은행들이 서울지역에 편중된 대출영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은 전국을 6개 영업 구역으로 구분하고 본점 소재지를 기준으로 주된 영업구역을 지정해 해당지역에 대한 의무대출비율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부실처리를 위한 인수합병 과정에서 서울을 포함한 복수의 영업구역을 보유한 대형 저축은행들이 등장, 수익성이 좋은 서울지역에만 대출역량을 집중해도 의무대출비율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규복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복수의 영업구역을 갖고 있는 대형 저축은행들은 서울에 대출역량을 집중해도 의무대출비율을 충족케 된다"면서 "서울 뿐 아니라 보유한 모든 영업구역에서 지역서민금융기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이 지역 서민금융기관이라는 본연의 취지를 살리려면 개별 저축은행별로 지역별 서민·중소기업 대출취급 현황을 정기적으로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