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 속에서 한동안 '찬바람'을 맞았던 오피스텔 시장에 간만에 훈풍이 불고 있다. 곤두박질치던 서울 오피스텔 가격이 올 들어 처음으로 상승 전환하고 거래량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정부의 분양가상한제로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 속에 '틈새 투자처'로 각광받는 데다 소득 노출이 불가피한 전월세 신고제 영향권에서 제외된 '반사 이익'으로 보인다.
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01.57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오피스텔 값이 상승 반전한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서울 5대 권역 중에서는 도심권(종로구·중구·용산구)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매매가격지수가 올랐다.
규모별로 보면 1인 가구가 선호하는 소형(40㎡ 이하) 오피스텔보다 중대형(40㎡ 초과)의 지수 상승세가 돋보였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올 들어 오피스텔은 집값 상승세 속에서 투자자들의 관심 밖에 맴돌았다"며 "중대형 오피스텔은 주택 대체재로서의 '아파텔' 성격이어서 주거와 투자로서 인기가 조금씩 살아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소형 매매가격지수는 100.69로 보합을 기록했으나 중대형은 104.11로 전월 대비 0.16포인트 올랐다.
꿈쩍하지 않던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올해 7월 들어 서울 오피스텔 거래는 3184건으로 전달(2676건)보다 18.9%나 늘어났다. 전국적으로는 같은 기간 1만1935건에서 1만6462건까지 37.9%나 뛰었다. 신규 오피스텔의 인기도 두드러진다.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브라이튼'은 849실 모집에 2만2462건이 접수돼 평균 26.46대1의 높은 경쟁률로 모든 주택형이 마감됐다. 지난달 20~21일 진행된 '힐스테이트 과천 중앙' 오피스텔 청약에서도 319실 공급에 1341건이 접수돼 평균 4.2대1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은 84㎡D 타입으로 21.67대1에 달했다.
외면받던 오피스텔에 다시 봄기운이 도는 배경은 기준금리 인하와 더불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여파로 공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신축 아파트의 대체재로 부각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 건축법상 비주택으로 분류돼 각종 규제에서 자유롭다.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에서는 소유권 등기 이전까지 분양권 전매가 제한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자유롭게 매매가 가능하다. 아파트의 경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분양 가격이 인근 시세의 80% 미만이면 최대 10년간 분양권 전매가 제한된다.
임대차 계약 시 30일 내에 신고하도록 하는 전월세 신고제를 추진하는 가운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호재' 중 하나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와 안호영 의원실 등에 따르면 전월세 신고 의무화가 주요 내용인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에서 오피스텔과 고시원은 법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 안 의원실 관계자는 "신고제가 한꺼번에 적용되면 주택 임대차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 일단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전월세 거래도 주택 매매처럼 실거래가 신고가 의무화되면 임대인은 전월세 내용 공개로 세원이 노출돼 그간 내지 않았던 임대소득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커진다. 결국 세원노출을 꺼리는 임대사업자 또는 투자자들의 경우 주택 대신 오피스텔로 일부 수요를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오피스텔을 전월세 신고제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나온다.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은 세제 등 여러 측면에서 일종의 주택으로 간주하고 있고, 전세가율이 아파트보다 훨씬 높은 80~9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깡통전세' 등 임차인 보호에 '사각지대'로 남을 가능성 때문이다.
실제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지난달 기준 79.47%로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0년만 해도 60%대였던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해마다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01.57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오피스텔 값이 상승 반전한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서울 5대 권역 중에서는 도심권(종로구·중구·용산구)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매매가격지수가 올랐다.
규모별로 보면 1인 가구가 선호하는 소형(40㎡ 이하) 오피스텔보다 중대형(40㎡ 초과)의 지수 상승세가 돋보였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올 들어 오피스텔은 집값 상승세 속에서 투자자들의 관심 밖에 맴돌았다"며 "중대형 오피스텔은 주택 대체재로서의 '아파텔' 성격이어서 주거와 투자로서 인기가 조금씩 살아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소형 매매가격지수는 100.69로 보합을 기록했으나 중대형은 104.11로 전월 대비 0.16포인트 올랐다.
꿈쩍하지 않던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올해 7월 들어 서울 오피스텔 거래는 3184건으로 전달(2676건)보다 18.9%나 늘어났다. 전국적으로는 같은 기간 1만1935건에서 1만6462건까지 37.9%나 뛰었다. 신규 오피스텔의 인기도 두드러진다.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브라이튼'은 849실 모집에 2만2462건이 접수돼 평균 26.46대1의 높은 경쟁률로 모든 주택형이 마감됐다. 지난달 20~21일 진행된 '힐스테이트 과천 중앙' 오피스텔 청약에서도 319실 공급에 1341건이 접수돼 평균 4.2대1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은 84㎡D 타입으로 21.67대1에 달했다.
외면받던 오피스텔에 다시 봄기운이 도는 배경은 기준금리 인하와 더불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여파로 공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신축 아파트의 대체재로 부각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 건축법상 비주택으로 분류돼 각종 규제에서 자유롭다.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에서는 소유권 등기 이전까지 분양권 전매가 제한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자유롭게 매매가 가능하다. 아파트의 경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분양 가격이 인근 시세의 80% 미만이면 최대 10년간 분양권 전매가 제한된다.
임대차 계약 시 30일 내에 신고하도록 하는 전월세 신고제를 추진하는 가운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호재' 중 하나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와 안호영 의원실 등에 따르면 전월세 신고 의무화가 주요 내용인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에서 오피스텔과 고시원은 법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 안 의원실 관계자는 "신고제가 한꺼번에 적용되면 주택 임대차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 일단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전월세 거래도 주택 매매처럼 실거래가 신고가 의무화되면 임대인은 전월세 내용 공개로 세원이 노출돼 그간 내지 않았던 임대소득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커진다. 결국 세원노출을 꺼리는 임대사업자 또는 투자자들의 경우 주택 대신 오피스텔로 일부 수요를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오피스텔을 전월세 신고제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나온다.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은 세제 등 여러 측면에서 일종의 주택으로 간주하고 있고, 전세가율이 아파트보다 훨씬 높은 80~9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깡통전세' 등 임차인 보호에 '사각지대'로 남을 가능성 때문이다.
실제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지난달 기준 79.47%로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0년만 해도 60%대였던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해마다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