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급증하고 있는 보험사기를 잡기 위해 '보험사기인지시스템(IFAS)' 고도화 작업에 착수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보험사기인지시스템 개선 사업' 입찰 제안서 접수를 26일 마감한다. 9월 초 사업 업체 선정 후 12월까지 개선 사업을 진행한다. 보험사기인지시스템은 ▲조사관리 ▲시장감시 ▲혐의분석 3개의 기능을 수행하며 금감원의 보험사기 조사·분석업무를 지원하는 디지털 시스템이다.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역대 최고수준인 7982억원으로 전년대비 680억원(9.3%)증가했다. 최근에는 일반보험 반복(허위)청구 등 보험사기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고 실명 확인을 안하는 차량공유·렌터카를 이용한 지능화·조직화된 보험사기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번 보험사기인지시스템 개선 사업은 IFAS의 지능화를 통해 보험사기 분석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토대로 보험사기 조사 환경변화에 적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늘어난 여행자보험, 홀인원보험 같은 일반보험 사기에 대한 '사각지대'를 차단하고, 보험사기 적발자 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조기대응 체계를 마련하다. '사무장 병원' 등 보험사기의 한 축을 담당하는 병원들에 대한 분석·조회 기능도 대폭 강화한다.
현재 IFAS는 장기보험과 자동차보험 위주의 기초자료를 입수해 보험사기 혐의점을 분석하도록 설계돼 있다. 반면 일반보험은 정보 미비로 제보내용·인지보고를 확인하거나, 혐의분석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보험 사기 관련 제보나 인지 건수는 지난 2016년 48건에서 지난해 129건으로 2년 사이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따라서 금감원은 운전자보험, 여행자보험, 홀인원보험, 배상책임보험 등 일반보험 종목에 대해 기초자료를 집적할 수 있도록 IFAS를 개선한다. 일반보험 기초자료의 계약·사고내역, 사고다발자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 만들고 일반보험 기초자료를 연계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아울러 보험사기 적발자 정보와 보험사기 기초 데이터를 결합·분석해 보험사기 확산을 조기에 차단한다. 보험사들은 연간 약 8만명의 보험사기 적발자 정보를 금감원에 제공하고 있다. 이같은 보험사기 적발자의 특징을 그동안 축적한 보험사기 데이터와 융합해 혐의자들이 주로 연관된 병원이나 설계사를 추출, 향후 예상되는 사기에 대한 조기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동일한 주소지에서 개·폐업을 반복하거나 의료기관명을 자주 변경하는 '혐의병원'들을 조회할 수 있는 메뉴도 신설된다. 또 지역별로 허가병상 수 대비 입원 환자 비율이 높은 병원들을 추출해 상시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도 만든다.
[김강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