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발표에도 한강변 랜드마크인 '아크로리버파크' 아파트가 3.3㎡당 9208만원 수준으로 사상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강남 3.3㎡당 1억원 막겠다는 것"이라며 민간아파트 상한제 배경을 밝혔지만 역설적으로 이번 상한제 발표가 강남 신축 프리미엄을 더 띄워 3.3㎡당 1억원에 근접하는 계기가 됐다는 해석이다.
19일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59㎡(옛 24평)가 지난달 22억1000만원(12층)에 실거래됐다. 이번 최고가는 지난 4월 거래됐던 20억3000만원(8층)보다 1억8000만원 오른 가격이다.
3.3㎡당 9208만원은 단위면적당 가격으로 국내 최고 가격이다. 강남 대장주 아파트인 아크로리버파크는 지난해 가격 폭등기였던 8월 중순 59㎡가 3.3㎡당 1억원을 돌파한 24억5000만원에 거래됐다는 루머가 났었다. 국토부까지 나서서 소문을 직접 조사한 끝에 허위 정보인 것으로 결론 내렸지만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의 '여의도·용산 통개발' 발언으로 불붙고 있던 강남 집값에 부채질을 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지난 13일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 "과천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가 거의 3.3㎡당 4000만원까지 나왔다는 것은 강남에서 6000만원, 8000만원이 나온다는 것이고, 시세가 1억원이 된다는 것인 만큼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분양가상한제를 확대했다"고 설명한 것도 사실상 아크로리버파크를 겨냥한 얘기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런 국토부 목표와는 정반대로 민간택지 상한제를 발표한 전후로 강남 4구 일대에선 향후 상한제로 재건축사업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새 아파트 공급이 급감하고 기존 아파트 값은 수년간 급등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라 신축아파트를 중심으로 프리미엄이 급등하는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교수는 "강남·서초 등 강남 4구는 단순히 부동산 투자 때문이 아니라 학군·복지·문화 등의 여러 이유로 끊임없이 수요가 발생하는 지역"이라며 "단순히 분양가만 잡으면 집값이 내려갈 것이라는 어설픈 정책으로 집값을 잡는 건 불가능하고 결국 공급을 늘리는 등 시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올해 입주를 시작한 9500가구의 대단지인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마저 전 평형이 신고가를 달리는 중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헬리오시티의 전용면적 110㎡ 분양권이 지난 7월 20억7000만원에 팔렸다. 모든 면적 통틀어 헬리오시티 시세가 2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양가 10억~11억원에 비해 약 2배 수준으로 오른 것이다. 헬리오시티는 최근 전 면적대에서 최고가가 연달아 나오고 있다. 지난 7월에만 전용면적 59㎡가 15억원, 84㎡는 17억5000만원, 99㎡는 19억50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경신했다.
실거래가뿐 아니라 호가도 상승 중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84㎡의 경우 현재 호가가 27억~28억원에 형성돼 있다. 지난달 이 아파트 전용 84㎡는 26억원(7층)에 실거래 됐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민간 상한제 발표가 임박하자 집주인들이 내놓았던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호가가 계속 뛰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3.3㎡당 1억원을 막겠다"고 발표한 민간아파트 상한제가 되레 강남 아파트가 3.3㎡당 1억원을 향해 달리는 '추진엔진'이 됐다는 해석이 통설이 되고 있다. 부동산114가 집계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준공 5년 이하의 서울 신축아파트는 분양가상한제를 발표한 직후인 지난주 0.05% 올라 그 전주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상승률이 0.02%에 그쳐 그 전주 대비 0.07%포인트 하락했다. 정부 기대대로 재건축 아파트의 '발목'을 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신축 가격 상승으로 최종 목표인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투기수요 차단이라는 명분으로 재건축에 대한 수요는 잘라 낼 수 있어도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새집'에 대한 욕구 자체를 '씨'를 말릴 수는 없지 않겠나"며 "기존 새집 가격 상승은 예정된 코스"라고 말했다.
김동수 한국주택협회 정책실장은 "서울의 경우 가용택지가 고갈된 상황이고 도심 내 신규 택지(나대지)를 확보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더라도 수요가 집중될 수밖에 없다"면서 "분양가상한제의 가격 안정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9일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59㎡(옛 24평)가 지난달 22억1000만원(12층)에 실거래됐다. 이번 최고가는 지난 4월 거래됐던 20억3000만원(8층)보다 1억8000만원 오른 가격이다.
3.3㎡당 9208만원은 단위면적당 가격으로 국내 최고 가격이다. 강남 대장주 아파트인 아크로리버파크는 지난해 가격 폭등기였던 8월 중순 59㎡가 3.3㎡당 1억원을 돌파한 24억5000만원에 거래됐다는 루머가 났었다. 국토부까지 나서서 소문을 직접 조사한 끝에 허위 정보인 것으로 결론 내렸지만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의 '여의도·용산 통개발' 발언으로 불붙고 있던 강남 집값에 부채질을 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지난 13일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 "과천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가 거의 3.3㎡당 4000만원까지 나왔다는 것은 강남에서 6000만원, 8000만원이 나온다는 것이고, 시세가 1억원이 된다는 것인 만큼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분양가상한제를 확대했다"고 설명한 것도 사실상 아크로리버파크를 겨냥한 얘기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런 국토부 목표와는 정반대로 민간택지 상한제를 발표한 전후로 강남 4구 일대에선 향후 상한제로 재건축사업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새 아파트 공급이 급감하고 기존 아파트 값은 수년간 급등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라 신축아파트를 중심으로 프리미엄이 급등하는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교수는 "강남·서초 등 강남 4구는 단순히 부동산 투자 때문이 아니라 학군·복지·문화 등의 여러 이유로 끊임없이 수요가 발생하는 지역"이라며 "단순히 분양가만 잡으면 집값이 내려갈 것이라는 어설픈 정책으로 집값을 잡는 건 불가능하고 결국 공급을 늘리는 등 시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헬리오시티의 전용면적 110㎡ 분양권이 지난 7월 20억7000만원에 팔렸다. 모든 면적 통틀어 헬리오시티 시세가 2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양가 10억~11억원에 비해 약 2배 수준으로 오른 것이다. 헬리오시티는 최근 전 면적대에서 최고가가 연달아 나오고 있다. 지난 7월에만 전용면적 59㎡가 15억원, 84㎡는 17억5000만원, 99㎡는 19억50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경신했다.
실거래가뿐 아니라 호가도 상승 중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84㎡의 경우 현재 호가가 27억~28억원에 형성돼 있다. 지난달 이 아파트 전용 84㎡는 26억원(7층)에 실거래 됐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민간 상한제 발표가 임박하자 집주인들이 내놓았던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호가가 계속 뛰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3.3㎡당 1억원을 막겠다"고 발표한 민간아파트 상한제가 되레 강남 아파트가 3.3㎡당 1억원을 향해 달리는 '추진엔진'이 됐다는 해석이 통설이 되고 있다. 부동산114가 집계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준공 5년 이하의 서울 신축아파트는 분양가상한제를 발표한 직후인 지난주 0.05% 올라 그 전주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상승률이 0.02%에 그쳐 그 전주 대비 0.07%포인트 하락했다. 정부 기대대로 재건축 아파트의 '발목'을 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신축 가격 상승으로 최종 목표인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투기수요 차단이라는 명분으로 재건축에 대한 수요는 잘라 낼 수 있어도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새집'에 대한 욕구 자체를 '씨'를 말릴 수는 없지 않겠나"며 "기존 새집 가격 상승은 예정된 코스"라고 말했다.
김동수 한국주택협회 정책실장은 "서울의 경우 가용택지가 고갈된 상황이고 도심 내 신규 택지(나대지)를 확보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더라도 수요가 집중될 수밖에 없다"면서 "분양가상한제의 가격 안정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