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당과 야당이 모두 화력을 모으고 있는데요, 최대 쟁점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될 것 같습니다.
이권열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어요.
사모펀드 자체가 생소하기도 한데, 어떤 건가요?
【 기자 】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기업 주식을 사서 되파는 형태로 운용하게 됩니다.
【 질문2 】
조국 후보자 가족은 어느 정도 투자를 했나요?
【 기자 】
조국 후보자 가족이 2017년 7월에 한 사모펀드에 투자 약정을 했습니다.
74억 5천만 원인데요. 조국 후보자 전 재산 56억 4천만 원보다 더 많은 금액입니다.
투자 약정 내용을 보면요, 조국 후보자 아내가 67억 원, 조 후보자의 자녀가 3억 5천만 원 약정을 했습니다.
실제 투자 금액은 10억 원 정도인데요.
배우자가 9억 5천만 원, 자녀들이 5천만 원씩 투자 했습니다.
사모펀드 자체가 사실 위험이 큰 투자 상품이다보니 전 재산보다 많은 금액을 투자 약정한 점, 또 실제로 10억 원 투자를 한 점을 놓고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질문3 】
10억 원도 상당한 거액인데, 야당에서는 편법 증여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고요?
【 기자 】
사모펀드의 특수한 구조 때문에 그런 의혹이 나오고 있는데요.
사모펀드는 펀드를 환매하면 그 수수료가 다른 펀드 가입자에게 돌아간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A, B, C 세 사람이 사모펀드에 가입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가 10억 원을 투자한 상태에서 수익이 40%, 4억 원을 기록했는데 펀드 환매를 합니다.
그런데 수수료가 수익의 절반이라면 2억 원이 수수료가 되는데 이 돈이 펀드 가입자의 몫이 되는 겁니다.
2억 원을 B와 C가 나눠갖게 되는거죠.
그런데 이 경우 B와 C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수료가 많을지, 궁금해하실 수 있는데 사모펀드는 투자자와 투자운용사가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질문4 】
복잡해 보이는데 실제로 이런 사례가 있나요?
【 기자 】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 가능성은 있지만 쉽지는 않다고 합니다.
증여세를 내지 않을 뿐이지 또 다른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펀드가 수익을 기록해야 증여가 가능한데 증여세를 피하기 위해 수익을 기대하고 사모펀드를 활용한다는게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겁니다.
【 질문5 】
그렇네요. 펀드가 수익이 나야 가능한 이야기잖아요.
지금 어떻습니까?
【 기자 】
"현재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 상태로 펀드를 청산 중"이라고 펀드운용사 측은 밝혔습니다.
【 질문6 】
조국 후보자 가족이 위장이혼, 위장소송 논란에도 휩싸였어요
【 기자 】
자유한국당 주광덕 의원의 주장인데요.
한 번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주광덕 / 자유한국당 의원(그제)
- "법학 교수로서 웅동학원의 이사를 맡았던 후보자가 봉이 김선달 대동강 물 팔아 먹는 듯한 이런 소송에 그냥 묵인하고 인정했다면 여기에 큰 의혹이 있을 수밖에…."
지난 2006년, 조국 후보자의 남동생이 운영하는 회사가 자신의 아버지가 운영하던 학교법인에 공사비를 달라는 내용의 소송을 냈습니다.
학교법인 이사는 마침 조 후보자 였습니다.
학교법인은 변론을 하지 않았고 조 후보자 동생이 승소를 했는데 가족끼리 '짜고 치는 소송'을 통해 학교법인 재산을 동생 회사로 가져갔다는 게 의혹의 내용입니다.
주 의원은 또 조 후보자의 동생이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위장 이혼을 하고 전처에게 재산을 넘겼다는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 질문7 】
조국 후보자와 여당의 입장은 어떤가요?
【 기자 】
원칙적으로는 일일이 해명하기보다 청문회에서 답을 하겠다는 겁니다.
펀드 문제에 대해선 이렇게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조국 / 법무부 장관 후보자(그제)
- "10억 원이 넘는 돈을 투자하신 판단 근거가 무엇인가요?"
- "국회 청문회에서 소상히 다 답변 드리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변인이 오늘 거듭 조국 후보자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어떤 의혹인지 일일이 거론한건 아닌데 조 후보자 주장은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적법한 절차였다는 겁니다.
다만 "조 후보자가 국민의 정서상 공직자가 많은 재산을 가진 부분에 대해 괴리는 있을 수 있겠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 질문8 】
끝으로 다른 후보자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도 증여세 탈루 의혹이 제기됐죠.
【 기자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장남에게 재산을 증여하고 증여세를 탈루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건데요.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의 주장입니다.
최 후보자의 서른살 장남이 유학 중인데 신고한 재산이 1억 원이 넘는 반면, 최 후보자가 최근 6년간 증여세를 납부한 적이 없다는 겁니다.
현행법상 증여세 면제 한도금액은 5천만 원입니다.
【 앵커멘트 】
지난 9일 개각에서 지명된 장관 후보자들의
의혹과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결국 공은 국회 인사 청문회로 넘어갔구요. 청와대도 국회 청문 결과를 존중해야 할것입니다.
뉴스추적 이권열 기자였습니다.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당과 야당이 모두 화력을 모으고 있는데요, 최대 쟁점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될 것 같습니다.
이권열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어요.
사모펀드 자체가 생소하기도 한데, 어떤 건가요?
【 기자 】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기업 주식을 사서 되파는 형태로 운용하게 됩니다.
【 질문2 】
조국 후보자 가족은 어느 정도 투자를 했나요?
【 기자 】
조국 후보자 가족이 2017년 7월에 한 사모펀드에 투자 약정을 했습니다.
74억 5천만 원인데요. 조국 후보자 전 재산 56억 4천만 원보다 더 많은 금액입니다.
투자 약정 내용을 보면요, 조국 후보자 아내가 67억 원, 조 후보자의 자녀가 3억 5천만 원 약정을 했습니다.
실제 투자 금액은 10억 원 정도인데요.
배우자가 9억 5천만 원, 자녀들이 5천만 원씩 투자 했습니다.
사모펀드 자체가 사실 위험이 큰 투자 상품이다보니 전 재산보다 많은 금액을 투자 약정한 점, 또 실제로 10억 원 투자를 한 점을 놓고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질문3 】
10억 원도 상당한 거액인데, 야당에서는 편법 증여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고요?
【 기자 】
사모펀드의 특수한 구조 때문에 그런 의혹이 나오고 있는데요.
사모펀드는 펀드를 환매하면 그 수수료가 다른 펀드 가입자에게 돌아간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A, B, C 세 사람이 사모펀드에 가입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가 10억 원을 투자한 상태에서 수익이 40%, 4억 원을 기록했는데 펀드 환매를 합니다.
그런데 수수료가 수익의 절반이라면 2억 원이 수수료가 되는데 이 돈이 펀드 가입자의 몫이 되는 겁니다.
2억 원을 B와 C가 나눠갖게 되는거죠.
그런데 이 경우 B와 C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수료가 많을지, 궁금해하실 수 있는데 사모펀드는 투자자와 투자운용사가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질문4 】
복잡해 보이는데 실제로 이런 사례가 있나요?
【 기자 】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 가능성은 있지만 쉽지는 않다고 합니다.
증여세를 내지 않을 뿐이지 또 다른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펀드가 수익을 기록해야 증여가 가능한데 증여세를 피하기 위해 수익을 기대하고 사모펀드를 활용한다는게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겁니다.
【 질문5 】
그렇네요. 펀드가 수익이 나야 가능한 이야기잖아요.
지금 어떻습니까?
【 기자 】
"현재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 상태로 펀드를 청산 중"이라고 펀드운용사 측은 밝혔습니다.
【 질문6 】
조국 후보자 가족이 위장이혼, 위장소송 논란에도 휩싸였어요
【 기자 】
자유한국당 주광덕 의원의 주장인데요.
한 번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주광덕 / 자유한국당 의원(그제)
- "법학 교수로서 웅동학원의 이사를 맡았던 후보자가 봉이 김선달 대동강 물 팔아 먹는 듯한 이런 소송에 그냥 묵인하고 인정했다면 여기에 큰 의혹이 있을 수밖에…."
지난 2006년, 조국 후보자의 남동생이 운영하는 회사가 자신의 아버지가 운영하던 학교법인에 공사비를 달라는 내용의 소송을 냈습니다.
학교법인 이사는 마침 조 후보자 였습니다.
학교법인은 변론을 하지 않았고 조 후보자 동생이 승소를 했는데 가족끼리 '짜고 치는 소송'을 통해 학교법인 재산을 동생 회사로 가져갔다는 게 의혹의 내용입니다.
주 의원은 또 조 후보자의 동생이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위장 이혼을 하고 전처에게 재산을 넘겼다는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 질문7 】
조국 후보자와 여당의 입장은 어떤가요?
【 기자 】
원칙적으로는 일일이 해명하기보다 청문회에서 답을 하겠다는 겁니다.
펀드 문제에 대해선 이렇게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조국 / 법무부 장관 후보자(그제)
- "10억 원이 넘는 돈을 투자하신 판단 근거가 무엇인가요?"
- "국회 청문회에서 소상히 다 답변 드리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변인이 오늘 거듭 조국 후보자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어떤 의혹인지 일일이 거론한건 아닌데 조 후보자 주장은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적법한 절차였다는 겁니다.
다만 "조 후보자가 국민의 정서상 공직자가 많은 재산을 가진 부분에 대해 괴리는 있을 수 있겠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 질문8 】
끝으로 다른 후보자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도 증여세 탈루 의혹이 제기됐죠.
【 기자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장남에게 재산을 증여하고 증여세를 탈루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건데요.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의 주장입니다.
최 후보자의 서른살 장남이 유학 중인데 신고한 재산이 1억 원이 넘는 반면, 최 후보자가 최근 6년간 증여세를 납부한 적이 없다는 겁니다.
현행법상 증여세 면제 한도금액은 5천만 원입니다.
【 앵커멘트 】
지난 9일 개각에서 지명된 장관 후보자들의
의혹과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결국 공은 국회 인사 청문회로 넘어갔구요. 청와대도 국회 청문 결과를 존중해야 할것입니다.
뉴스추적 이권열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