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동산 시장은 미·중 무역갈등과 한·일 경제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과 분양가상한제 발표 예정 등으로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학교 인근이나 역세권 등 선호도가 높거나 상대적 저평가 단지는 상승세를 보였다.
8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강북(0.03%)에서 마포구(0.05%)는 공덕오거리와 초등학교 인근 수요로, 용산구(0.04%)는 리모델링과 개발 기대감 등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동대문구(0.04%)는 청량리역세권 등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으로, 서대문구(0.04%)는 뉴타운 등 신축 대단지 수요로 상승했다.
강남(0.03%)에서는 서초(0.06%)·강남(0.05%)·송파구(0.04%)가, 강남4구외 지역에서는 영등포(0.02%)·동작구(0.02%), 구로구(0.03%)가 올랐다.
강남의 경우 재건축 단지는 대체로 하락 내지 보합세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적었던 단지와 선호도가 높은 신축·준신축 단지는 올랐다. 강남4구 외에서도 신축단지와 저평가된 단지 그리고 역세권 위주로 오름세를 보였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갔다. 수도권(0.00%→0.00%)은 보합 유지한 반면 지방(-0.06%→-0.07%)은 하락폭이 커졌다.
시도별로는 대전(0.26%), 전남(0.04%), 서울(0.03%)은 상승, 경기(0.00%)는 보합, 강원(-0.26%), 경남(-0.19%), 충북(-0.11%), 세종(-0.10%), 경북(-0.09%), 전북(-0.09%), 부산(-0.09%) 등은 하락했다.
경기는 서울 접근성과 신규 입주물량, 개발호재, 노후정도 등에 따라 지역·단지별로 차이를 보이며 지난주에 이어 보합을 유지했다. 과천시(0.30%)는 원문동 대단지·재건축 일부 단지에서, 용인시 처인구(0.20%)는 산업단지 조성, 신대지구 개발 기대감 등으로, 용인시 수지구(0.17%)는 성복역 롯데몰 완공 예정 등으로 상승했으나, 안성(-0.20%)·파주(-0.14%)·고양시(-0.12%) 등은 수급불균형으로 하락했다.
지방에서 대전(0.26%)의 경우 유성구(0.51%)는 학군수요, 하수처리장 이전, 일부 상대적 저평가 단지 수요로 인해 관평·전민동 위주로 상승했다.
광주(-0.04%)에서 남(-0.06%)·광산(-0.04%)·서구(-0.02%)는 지난 7월 26일부터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적용된 가운데, 지난해 급등했던 단지 위주의 가격 조정과 휴가철 수요 감소로 모든 지역이 하락세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줄었다. 수도권(0.00%→-0.01%)은 하락 전환, 서울(0.03%→0.0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7%→-0.06%)은 하락폭이 줄었다.
시도별로는 대전(0.12%), 서울(0.04%), 대구(0.04%), 충남(0.04%)은 상승한 반면 전남(0.00%)은 보합, 경남(-0.22%), 강원(-0.16%), 경북(-0.12%), 세종(-0.11%), 충북(-0.10%), 울산(-0.07%) 등은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학군수요와 정비사업 이주수요가 있는 지역, 신축 대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북에서 광진구(0.06%)는 학군수요와 개발호재가 있는 광장·구의동 위주로, 성동구(0.06%)는 금호·옥수동 신축 위주로, 성북구(0.04%)는 길음뉴타운 위주로, 강북구(0.02%)는 미아동 역세권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마포(0.00%)·도봉(0.00%)·중랑구(0.00%)는 보합, 중구는 하락(-0.05%)했다.
강남에서 서초(0.19%)·강남(0.08%)·동작구(0.10%)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또는 자사고 폐지에 따른 학군수요 등으로 상승했으나, 양천구(-0.01%)는 노후 재건축단지(목동신시가지) 매물 적체로, 관악구(-0.01%)는 신규입주(e편한세상서울대입구, 올해 6월 입주) 영향 등으로 하락했다.
경기에서 과천(0.46%)은 개발사업 호재(과천지식정보타운 등)와 재건축사업 진척에 따른 청약 대기수요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