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등 일본발 경제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은행권에서도 피해 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대출금리 우대와 대출만기 연장, 신규 시설자금 마련 등 유동성 지원방안을 마련하는가 하면 우수 기술기업에 대해서는 은행들이 직접 투자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피해 기업지원의 일환으로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마련했다. 한도는 정해두지 않고 해당 기업이 위기를 넘기는데 필요한 만큼 도움을 줄 방침이다.
피해 기업의 만기가 도래한 여신에 대해 상환을 유예하고 최대 2.0%p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또 기업에 환율 우대와 외국환 관련 수수료 감면·면제 혜택을 주고 '수출 규제 피해 기업 금융지원 특별대책반'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일본 규제의 영향이 큰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신설, 특별우대 금리로 신규자금을 긴급 지원한다.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에 빠진 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기업신용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회생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일본의 부품 수출규제로 자금운용에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업체당 10억원까지 총 1조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키로 했다.
분할상환도 유예하고 신규 여신이나 연장 여신에 대해 금리를 최고 1.0%p 감면해준다. 아울러 일본 수출규제 금융애로 신고센터를 설치해 피해 기업에 관련 정부 지원 정책 등 각종 정보와 재무컨설팅을 제공키로 했다. 또 소재·부품 기업 여신지원 전문 심사팀도 새로 운영할 예정이다. 해당 기업이 자금지원을 신청하면 당일 심사를 원칙으로 바로 대응할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총 3조원 상당의 금융 지원책을 내놓았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대표적인 수출규제 피해산업의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상생대출을 지원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특별출연해 이달 중으로 5000억원, 이후 2020년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할 방침이다. 피해기업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5일부터 '경영안정 특별지원' 자금 500억원도 푼다.
피해가 예상되는 소재·부품기업에 최대 1.2%p 대출금리를 우대하고, 핵심 수수료를 전액 면제해주는 특화상품도 준비 중이다. 또 일본 수출규제 금융애로 전담 태스크포스를 운영해 종합적으로 피해 기업을 지원키로 했다.
KEB하나은행도 기업영업그룹장을 반장으로 한 금융지원 대책반을 신설했다. 이와 함께 일본 수출 규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중소기업 뿐 아니라 일본 제품·서비스 불매운동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여행사, 저가 항공사 등을 대상으로 유동성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피해 기업 임직원에게도 대출금리를 최대 1.0%p 우대해주고 수수료 감면과 대출연장 혜택을 제공키로 했다.
일본계 저축은행·대부업체에서 개인대출 상환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대환을 지원하고 피해기업 임직원에 특화한 대출상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은 5일부터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 기업에 할부상환금 납입을 최대 12개월 유예키로 했다.
해당 기업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상환기한을 연기할 수 있도록 했고, 신규대출이나 상환연기 시 금리를 0.3%p 낮춰 줄 방침이다. 또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 기업에 할부상환금 납입을 최대 12개월 유예해준다.
해당 기업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상환기한을 연기할 수 있도록 했고, 신규 대출이나 상환연기 시 금리를 0.3%p 낮춰주기로 했다.
일본의 규제가 농식품으로 확대할 것에 대비해 농가에도 금융지원을 계획 중이다. 수출액의 99%가 일본에서 나오는 파프리카 재배 농가가 우선 고려 대상이다.
다만 시중은행의 대출만기 연장 시행 등 금융지원이 은행권 부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대내외 변수 등 시장흐름을 모니터링 하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등 전략을 정비하고 있다.
감독당국 관계자는 "현재 금융지원 정책에 이어 수출피해기업 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이 검토 중"이라며 "피해 예상규모가 유동적인 만큼 상황에 따라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