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관리주체 중구난방이던 서울 지하시설물, 앞으로는…
입력 2019-07-25 15:19 

관리 주체가 달라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등 안전관리가 쉽지 않았던 서울시 내 지하시설물을 앞으로 서울시가 통합관리하게 된다. 시가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 '컨트롤타워'가 되어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해당 시설물을 관리하는 각 기관은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참여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과 지하철 등의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해 통합관리하겠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5만2697㎞로 추산되는 서울시 내 지하시설물 중 절반 이상인 2만7739㎞(53%)의 관리는 서울시가 아닌 타 기관이 맡고 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기관간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복합재난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 도심에 전력, 통신, 상수도를 공동 수용하는 '소형 공동구' 설치방안도 검토해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도 2020년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 관련 '지하개발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착수한다.
지하시설물 노후화와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시스템을 연내 개발하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 관리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이날 시는 2023년까지 총 2조7087억원을 투입해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를 통합·선제적으로 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발표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서울의 지하시설물 중 절반 이상은 서울시 이외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바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하여 서울의 지하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