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한국 유입 日은행 자금 25조…국내 총여신의 1.2% 수준
입력 2019-07-22 18:05  | 수정 2019-07-23 00:12
국내에 들어와 있는 일본계 자금의 정확한 규모와 이들 자금이 빠져나가면 한국에 미칠 파장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금융당국도 일본이 보복조치를 금융 분야로 확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은행과 여신전문회사들이 빌린 일본계 자금 만기 도래 현황을 점검하고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고 있다.
22일 금융당국과 이태규 바른미래당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에 들어와 있는 일본계 자금 규모는 최대 52조9000억원으로 추산된다. 5월 말 기준 미즈호·MUFG·미쓰이스미토모·야마구치은행 등 국내에 들어온 일본은행 국내 지점 4곳의 총 여신은 24조7000억원이다. 여기에 6월 말 기준 일본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주식 13조원, 채권 1조6000억원, 지난해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 기타투자 중 일본 투자액 13조6000억원을 합친 금액이다. 일본은행 국내 지점 대출액과 겹칠 가능성이 큰 국제투자대조표상 일본 투자액을 빼더라도 최소 39조30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이는 국내 금융시장 규모와 비교하면 크지 않은 수준이다. 일본계 은행들의 한국 지점 총 여신은 국내 전체 은행 총 여신 1983조원(올해 1분기 기준)의 약 1.2% 수준이며, 국내 주식시장 내 일본계 자금도 전체 외국인 주식자금 560조원의 2.3%에 불과하다.
금융당국은 일본계 금융사가 자금을 회수한다고 해도 당장 우리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국내 은행이나 정부가 대응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이다.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 신용등급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기준 각각 AA와 AA-로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도 5월 기준 4020억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18일 언론 간담회에서 "국내 금융시장은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지 않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 일본이 제재를 가하더라도 영향력은 제한적이라는 게 시장 전문가의 대체적인 평가"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 자금 유출의 파장을 간과하면 곤란하다는 의견도 많다. 금융시장에서는 일본 금융회사가 만기 연장(롤오버)을 거부하며 대출금을 회수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민간자금과 달리 일본 정부가 은행 등 금융사를 한국에 대한 보복조치에 동원할 수 있다고 봐서다.
[김동은 기자 /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