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6일,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과이도 의장(왼쪽)을 공항에 마중나갔다`는 이유로 `외교적 기피 인물`로 지정된 다니엘 마르틴 크리너 독일 대사(오른쪽)가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기자들과 인터뷰하고 있다. [AFP = 연합뉴스]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를 마중나갔다'는 이유로 베네수엘라에서 쫓겨났던 다니엘 마르틴 크리너(Daniel Martin Kriener) 독일 대사가 다시 베네수엘라로 돌아간다. 외교관 추방 사건으로 꼬였던 독일과 베네수엘라 간 외교 관계도 예전으로 다시 돌아가는 모양새다. 최근 미국이 베네수엘라 '두 대통령 정국'에 개입 흥미를 잃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제재 카드'를 쓰는 상황이다보니 '미국 최대 동맹'인 유럽 외교 노선이 어느 방향으로 뻗어나갈지도 관심사다.호르헤 아레아사(Jorge Arreaza) 베네수엘라 외무부장관은 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독일과 외교 관계가 정상화됐으며, 3월 니콜라스 마두로(Nicolas Maduro) 대통령이 '외교적 기피인물'(persona non grata)로 정해 추방했던 주 베네수엘라 다니엘 마르틴 크리너 독일대사가 복귀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독일 연방 정부와 관계 정상화를 위한 수 차례 접촉 후 각자의 이익과 '상호 존중' 원칙 하에 양국 외교관계를 복원키로 했다"고 트위터 등을 통해 밝혔다.
앞서 마두로 대통령은 '베네수엘라 임시 대통령'임을 스스로 선언한 야권 지도자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이 남미 순방을 마치고 3월 4일 귀국할 때, 크리너 독일 대사와 다른 베네수엘라 주재 유럽 외교관들이 공항으로 과이도 의장을 마중나갔다는 점을 문제 삼아 대표적으로 크리너 대사에 추방 명령을 내렸었다. 3월 6일 아레아사 베네수엘라 외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외국 외교관인 크리너 독일 대사가 과의도 의장 같은 야권 극단주의 세력과 합세해 베네수엘라 정치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 크리너 대사는 48시간 내로 베네수엘라를 떠나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하이코 마스(Heiko Maas) 독일 외무장관은 크리너 대사를 본국으로 불러들이면서 "과이도 의장에 대한 유럽의 지지는 꺾이지 않을 것이며, 크리너 대사는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대단히 훌륭히 일했다"고 맞받아쳤다. 올해 초부터 마두로 대통령은 과의도 의장 체포 협박을 해왔다.
2018년 5월 마두로 대통령은 야권 후보들의 출마를 제지해가며 재선에 성공했지만 '불법·비민주적 선거'라는 대내외 비난과 더불어 경제난 속에 지지율도 떨어진 상황이다. 그러자 올해 1월 23일 과이도 의장이 "헌법 제233조에 따라 국회의장인 내가 임시 대통령"이라고 선언했고 이날 즉시 미국이 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후 유럽 등 50여 개국이 과이도 의장을 임시 대통령으로 인정했다. 베네수엘라 헌법 제233조는 대통령에 사망 혹은 중대한 사유가 발생하면 국회 의장이 30일간 임시 대통령 지위에 있으면서 대선을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베네수엘라는 세계 최대 원유 매장량을 자랑하는 산유국이지만, 2015년을 전후한 유가 급락 사태와 정치인들의 포퓰리즘(다수의 인기를 끌기 위해 재정난 등을 골하지 않고 선심성으로 정책을 남발하는 것), 무능·부정부패가 겹치면서 경제가 끊없이 추락했다. 베네수엘라 중앙은행은 올해 들어 2015년 이후 처음 공식 경제지표를 발표했는데 올해 4월 기준 연간 물가 상승률이 13만60%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는 137만~150만%로 추산한다.
지난 4월 30일 베네수엘라에서는 과이도 의장이 군사 봉기를 시도했지만, 군부가 마두로 대통령을 지지하는 바람에 실패했다. 이후 미국 등 국제사회 지지를 받는 과이도 의장 측근들이 '국제 지원금 횡령 스캔들'에 휩싸였고 민심을 잃을 위기에 처한 과이도 의장은 "국제투명성기구(TI)조사를 받겠다"고 발표지만 정국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베네수엘라 군부에 보내는 편지를 공개한 미국 [사진 출처 = 남부사령군 트위터]
마이크 폼페이오(Mike Pompeo) 미국 국무부 장관이 "4월 30일 군사봉기 실패 후 베네수엘라 사태는 지독하게 복잡하다"고 토로한 후, 중·남미를 관할하는 미국 남부사령부 크레이그 폴러(Craig Faller) 사령관은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을 옹호하는 베네수엘라 군부를 향해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언젠가 베네수엘라 군이 형제애를 보이며 돌아올 날을 기다린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면서 이를 남부사령부 트위터에 지난 달 23일(현지시간) 공개했다.'군사 개입'까지 운운하며 마두로 정권과 군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던 미국이 이례적으로 베네수엘라 군부에 공개 편지를 보낸 셈이다. 앞서 3월 미셸 바첼레트(Michelle Bachelet)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미국이 베네수엘라에 경제 제재를 가할 수록 시민들이 피해를 입는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은 지난 달 28일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보도자료를 통해 마두로 대통령의 아들이자 제헌의회(ANC) 의원인 니콜라스 에르네스토 마두로 게라( Nicolas Ernesto Maduro Guerra·일명 니콜라시토 Nicolasito)에 대해 2017년 7월 제재이후 이번에는 미국 내 자산 동결·거래 금지를 내용으로 한 제재를 추가하는 식으로 제재는 이어오고 있다.
베네수엘라는 의회도 둘이다. 야권 과이도 의장이 속한 국민의회(AN)와 여권 디오스다도 카베요가 의장인 제헌의회(ANC)다. 2017년 총선 때 '반(反)마두로'를 외치는 야권이 의회를 접수하자 마두로 대통령이 충성파로 구성된 임시의회 ANC를 만들었다.
이웃나라 페루로 이주 신청에 나선 베네수엘라 시민들. [로이터 = 연합뉴스]
'두 대통령 정국'에 혼란만 가중되는 가운데 시민들은 계속 짐싸서 나라를 떠나는 '베네수엘라 엑소더스'가 이어지고 있다. 유엔난민기구(UNHCR)와 국제이주기구(IOM)는 6월 7일 공동 성명을 내고 "베네수엘라를 떠난 국민 수는 2015년 말 기준 69만5000명이었지만 올해 중순까지 400만명 이상으로 급증한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특히 지난해 11월 이후 7달 동안 난민과 이주민 수가 100만명 정도 늘었다"고 발표했다.[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