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재무부실기업 인수많은 韓…M&A이후 인수기업까지도 나빠져
입력 2019-07-01 16:14 

한국의 경우 기업들 간 인수·합병(M&A)이 재무적으로 부실한 기업들 사이에서 많이 발생해 비효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보니 실제 M&A 이후에도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 모두 재무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일 발간한 BOK경제연구 '기업인수의 재무적 성과: 한국의 사례' 보고서는 "국내 기업인수는 주로 재무적 부실과 관련해 발생하나 실제로는 부실을 해소하는 역할을 못 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04∼2017년 국내 상장기업 인수합병 가운데 금융기관 사이 거래나 특수관계인의 지분을 변경하는 등 사실상 경영권이 바뀌지 않은 사례를 제외한 인수합병 1379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기업인수의 주요한 이유가 피인수기업과 그 모기업의 재무적 부실인 것으로 조사됐다. 피인수기업의 재무적 부실이 심각할수록 기업인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피인수기업 모회사의 재무적 부실도 인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인수기업 가운데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곳이 53%, 자본잠식상태인 기업은 61%였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등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71%에 달했다.

M&A는 이들 부실기업 재무상태를 호전시켜주기는 커녕 더 악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인수기업마저 재무 건전성을 위협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피인수기업은 M&A가 이뤄진 지 2년 후를 기준으로 총자산순이익률(ROA)이 4.9% 하락했다. 인수기업은 ROA가 4.8% 하락했다.총자산순이익률이란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다. 인수합병 이후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 모두 부실이 더 커진 것이다.
조은아 국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미국을 비롯해 기업인수시장이 발달한 국가에서 기업인수의 동기가 주로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들 간에 시너지를 추구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을 인수해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라며 "우리나라 기업인수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해 기업의 재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