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나홀로가구 580만 시대…10명 중 6명은 일하는 1인 가구
입력 2019-06-25 13:45  | 수정 2019-07-02 14:05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체 가구의 30%에 육박했습니다.

1인 가구의 약 60%는 일자리가 있었습니다. 이런 일하는 1인 가구는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5일) 발표한 '2018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을 보면, 작년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78만 8천 가구로 1년 전보다 17만 4천 가구(3.1%) 늘었습니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0.5%포인트 상승한 29.2%로 집계됐습니다.

1인 가구 중 취업자는 전년보다 3.1%(10만 6천 가구) 늘어난 353만 7천 가구였습니다. 전체 1인 가구 중 61.1%가 취업 상태인 셈입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6%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39세(23.0%), 40~49세(20.6%), 15~29세(19.0%), 65세 이상(10.8%)이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는 남자가 57.7%, 여자가 42.3%였습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56만 4천 가구(44.2%)로 가장 많았고, 고졸 130만 9천 가구(37.0%), 중졸 이하 66만 4천 가구(18.8%) 순이었습니다.

최근에는 노년층 1인 가구의 취업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65세 이상의 취업자인 1인 가구가 3만 6천 가구(10.3%) 늘어나 전체 연령대 중 증가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어 15~29세는 3만 가구(4.6%), 50~64세도 3만3천 가구(3.6%) 증가하는 등 취업자인 1인 가구가 모든 연령계층에서 늘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133만 5천 가구(37.7%)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숙박음식점업 71만 8천 가구(20.3%), 광·제조업 56만 3천 가구(15.9%) 순이었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광·제조업, 농림어업에서 비중이 줄었지만,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건설업,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비중이 늘었습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50~64세와 65세 이상에서 일하는 1인 가구가 많이 늘었고, 산업별로 보건복지, 사회복지 관련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을 연결해서 볼 때, 정부의 재정일자리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91만 2천 가구로 전년보다 3만 6천 가구 늘었으며, 전체에서 비중은 32.8%에서 32.7%로 소폭 줄었습니다.

상용직 근로자는 188만 1천 가구로 전년보다 7만 9천 가구 늘어난 반면, 비임금 근로자는 74만 4천 가구로 전년보다 4천 가구 줄었습니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1.1시간으로 전년보다 1.7시간 줄었습니다.

임금 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5.7%로 가장 많았고 100만~200만원 미만(24.6%), 300만~400만원 미만(17.1%), 400만원 이상(11.3%), 100만원 미만(11.3%) 등 순이었습니다.

100만원 미만 업종은 주로 농림어업(40.5%)에서 많았고, 200만~300만원 미만은 광·제조업(42.7%), 건설업(39.3%), 도소매·숙박음식점업(36.0%), 전기·운수·통신·금융업(35.6%),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9%) 등에서 다수 분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중 임금이 100만~200만원인 근로자 비중은 각각 40.6%, 37.3%, 36.1%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