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재미있고 기억하기 쉬운 상표가 대세
입력 2019-06-19 11:17 

질량보존의 법칙(다이어트 교육업), 오리무중(농장경영업), 잡았닭(치킨점업)…
19일 특허청에 따르면 이처럼 소비자들이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상품 이미지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일상용어를 활용한 상표등록이 늘어나고 있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용어들을 상품과 재치 있게 연결하여 상표로 등록받은 사례로는 '전화위복(복요리점)', '주도면밀(면요리점)', '하루방(숙박업)', '견인구역(애완동물업)' 등이 있다. 이외에도 '땅집GO(부동산업)', '신통방통(물통)', '나를따르라(소주)', '헤어 날 수 없다면(이미용업)' 등과 같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상표로 등록받은 경우도 있다.
흔히 사용하는 단어를 약간 변형하여 상표로 등록한 경우도 많다. '와인슈타인(와인)', '잉큐베이터(어학교육업)', '갈빅탕(식당업)', '기승전골(식당업)', '잔비어스(주점업)', '족황상제(족발)', '네일바요(손톱미용업)' 등이 대표적이다. 이미 있는 고유명사를 그대로 상표로 사용한 경우도 있다. '갤럭시(Galaxy)', '애플(Apple)', '아마존(Amazon)' 은 본래 의미보다도 스마트폰이나 IT, 유통기업의 브랜드로 더 유명해 졌다. 상표는 상품의 출처(出處)를 나타내므로 소비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상표일수록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출원자가 이러한 용어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특허청은 일상용어가 상표로 등록된 경우 사용에 있어서 상표적 사용인지 아닌지를 잘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등록상표라도 상품을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하면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 예를들어 '현대'가 자동차에 상표등록이 되었지만 다른 회사에서 '현대사회와 어울리는 자동차'라고 사용할 경우 상표적 사용으로 보기 어려워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 변영석 특허청 복합상표심사팀장은 "상표는 상품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말만 아니면 얼마든지 기존에 있는 단어를 선택해 상표로 등록받을 수 있다"면서 "다만 등록상표라도 상품을 설명하는 용어가 되면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으므로 출원시 용어 선택이나 상표사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