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강남 집값 바닥 다졌다"…넘치는 시중 유동자금 다시 기웃
입력 2019-06-13 17:58  | 수정 2019-06-13 20:05
서울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34주 만에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강남 집값이 다시 꿈틀대자 정부·여당이 예의 주시하고 필요하면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언급했다. 사진은 강남 일대 아파트 전경. [한주형 기자]
◆ 상승세로 돌아선 강남 집값 ◆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 전용 168㎡가 지난 5일 기존 최고가보다 2억6000만원 높은 21억1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인근 공인중개 관계자는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는 팔려는 사람도, 사려는 사람도 없어 애를 먹이더니 지난달부터 팔겠다는 사람은 없고 사겠다는 사람만 나타나고 있다"며 "분위기가 묘하게 변했다"고 말했다.
강남구의 집값 상승세 전환은 통계상으로는 무려 8개월 만의 일이다. 그러나 시장에선 '이미 강남권과 용산 등 핵심지에선 한두 달 전부터 나타난 현상'이라는 말이 많다. 거래가 많지 않아 눈에 띄지 않았을 뿐 슬금슬금 매수세가 붙은 지 꽤 됐다는 얘기다. 민간 통계업체인 부동산114 통계로는 강남은 이미 4월 말부터 상승으로 돌아섰다.
'개포주공1단지'의 경우 5~6월에만 38건의 거래가 성사됐는데, 이 중 최근 최고 가격을 경신한 신고가가 무려 6건에 달했다. 용산구 이촌동 '한가람건영'은 2036가구 대단지임에도 불구하고 9·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지난 2월까지 3개월간 단 1건의 거래도 없었다. 그러나 3월부터 조금씩 거래가 일어나기 시작하더니 4월엔 전용 84㎡에서 기존 신고가보다 2000만원 높은 14억8000만원에 거래가 신고됐고, 바로 다음달 다시 5000만원 높은 15억3000만원에 팔려 두 달 만에 신고가가 연속으로 경신됐다.
대출규제와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규제종합선물세트'라고 할 정도였던 9·13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반년 남짓한 기간 만에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는 셈이다.
작년에도 4월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가 시행되며 잠시 정지 상태였던 시장이 7월 보유세 인상안이 발표되자마자 무섭게 달아올랐던 바 있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공시가격 인상이 확정되고 3기 신도시 발표에서도 서울 지역이 거의 없어 '핵심지는 더 이상 안 떨어진다'는 확신을 갖게 된 것 같다"면서 "저금리 유동성 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예정이라 가격이 더 빠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고 진단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시장 유동성은 여전하고, 금리 인하 가능성까지 나오면서 매물들이 소진되고 있고, 시장의 관심은 다시 강남 재건축으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더 이상의 추가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지지 기반은 확실히 만들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부와 서울시의 서울 핵심지 공급을 틀어막는 정책이 역효과를 내 집값을 올리는 주범이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강남의 경우 재건축이 서울시에 의해 완전히 틀어막히면서 추가 공급에 대한 기대감은 사라졌다. 지난 12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대놓고 "재건축이 만약 허가돼서 이뤄지면 과거에 있었던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면서 "정부와 서울시는 필사적으로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하려고 노력하는 상황에서 신중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강남 요지에 이미 존재하는 주택의 희소성을 더 높이고 있다.
지난 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더 강화된 분양보증 기준을 내놓으면서 신규 아파트 분양가를 최대한 낮추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다만 급격하게 추락 중인 경제상황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도 본격적인 대세상승으로 전환되기는 무리라는 해석도 만만치 않다. 서울의 최핵심지 격인 강남권과 용산 등에는 현금부자들이 '안전자산' 격으로 모여들어 강세를 나타낼 수 있지만 서울 전역의 상승세 전환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는 분석이다.
[박인혜 기자 / 전범주 기자 / 추동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