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경제가 역성장(-0.4%)한 데 이어 2분기 첫 달인 4월 들어서는 경상수지가 7년 만에 적자(6억6천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경제 주체들에 불안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경상수지란 한 나라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 가운데 상품과 서비스 등의 경상거래를 구분해 기록한 통계를 말합니다.
경상수지 여러 항목 중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분야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입니다.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 수출하면 그만큼 수요가 증가해 생산증대를 유발함으로써 일자리가 늘어나고 소득도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벌어들인 외화로 외채를 갚거나 외국에 투자해 이자나 배당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서 수입하면 그만큼 국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줄어 국내기업의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대표적인 거시건전성 지표 중 하나로 꼽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부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높이고 국민소득과 고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적정한 수준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해야 한다는 게 정설입니다.
실제로 한국은 1998년 외환위기를 겪은 뒤 상품수지 흑자에 힘입어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선 줄곧 경상수지 흑자 기조를 유지해왔습니다. 정부도 한국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이 튼튼하다는 점을 강조할 때 늘 경상수지를 근거로 들 정도로 경상 흑자 기조는 한국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이 돼왔습니다.
4월 경상수지가 적자를 보인 게 2012년 4월(1억4천만 달러 적자) 이후 7년 만인 만큼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미치는 충격도 그만큼 클 전망입니다.
경제당국은 4월 경상 적자를 어느 정도 예견하고서 그 의미를 확대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미리부터 당부해왔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서 "(배당금·관광수지 등) 특이 요인으로 인해서 경상수지의 흐름이 바뀐다 하더라도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며 "월별 지표에 연연하지 말고 전체 흐름, 연간지표에 주목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월별로 보면 경상수지 기복이 심한데, 4월의 경우 배당금 지급과 관광 성수기 등 계절 요인이 있다고도 부연했습니다.
이날 한은도 4월 경상수지를 발표하면서 "계절적 배당지급 요인으로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적자 규모가 상품수지 흑자 규모를 상회한 데 기인했다"며 적자가 일회성 요인으로 발생했음을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4월 외국인에 대한 배당소득 지급액은 67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4월의 76억6천만 달러에 이어 역대 2위를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4월 경상 적자는 상품수지 흑자 폭 축소와 무관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올해 4월 배당소득수지 적자 규모는 49억9천만 달러로 작년 4월(63억6천만 달러 적자)이나 2017년 4월(51억2천만 달러)보다 크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결국 올해 4월 상품수지 흑자가 56억7천 달러로 작년 4월(96억2천만 달러) 대비 크게 줄어든 게 경상수지 적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4월 들어 반도체 경기 하락 등 여파로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6.2% 감소했지만, 수입은 유가 상승과 소비재 수입 증가로 1.8% 늘어나 상품수지 흑자 폭을 줄였습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4월 경상수지 적자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당국의 진단에 동의하면서도 경제 심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합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상품수지가 많이 감소했지만 배당과 같은 일시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며 "경상 적자가 지속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4월 경상 적자가 일시적이라고 한 한은의 설명은 팩트에 기반을 둔 얘기"라면서도 "경제지표들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경상수지까지 적자를 보이면서 경기둔화 신호가 더 강해지고 금융시장에서도 금리 인하 요구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