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 '희토류 카드' 만지작…미국 희토류 수입 3분의 2가 중국산
입력 2019-05-21 10:20  | 수정 2019-05-28 11:05

중국이 희토류를 미국에 대한 통상보복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냄에 따라 그 잠재적 파괴력이 주목됩니다.

희토류는 전자제품, 하이브리드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사용되는 광물로 첨단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원자재입니다.

일단 중국에 대한 미국의 희토류 의존도를 보면 제한조치가 가동될 때 미국에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오늘(21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희토류 수입은 산업계 수요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미국은 전체 희토류 수입의 3분의 2 정도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희토류 의존도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5분의 4에 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작년에 희토류 12만t을 채굴해 세계 생산량의 72%를 차지할 정도로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누리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전체 희토류 수출 가운데 30%를 차지해온 주요 고객이기도 합니다.

상호의존도가 높은 까닭에 희토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을 비껴간 품목입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자국 필요에 따라 중국산 제품 가운데 희토류에는 25%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주목할 점은 미국도 희토류를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생산량의 9%를 차지하는 3위 생산국이라는 사실입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의 작년 국가별 희토류 생산량 현황을 보면 호주(2만t·세계 전체의 12%), 미국(1만5천t·9%), 미얀마(5천t·3%), 인도(1천800t·1.1%) 등이 멀리서 중국의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국가별 매장량에서도 중국은 4천400만t으로 전 세계의 37.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다음은 브라질, 베트남(이상 2천200만t·18.9%), 러시아(1천200만t·10.3%), 인도(690만t·5.9%), 호주(340만t·2.9%), 미국(140만t·1.2%) 등의 순서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미국도 자체 생산력은 있으나 생산량과 매장량에서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중국이 워낙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까닭에 중국산 대체 수입국을 찾기도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중국산 희토류 수입이 줄어든다면 미국이 부족분을 채울 수는 있겠으나 생산량을 늘리는 데 시간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희토류는 희소한 광물의 종류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로는 금이나 은처럼 희귀하지는 않습니다.

이들 17개 광물은 자성이 강하거나 광학적인 특질이 있어서 전자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효용이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희토류가 있어도 채굴을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광물과 뒤섞여 채굴 후 별도의 추출과 가공 비용이 필요하고 광산 환경규제도 엄격하기 때문입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중국의 주요 희토류 생산업체들은 미국과의 거래가 제한되더라도 매출의 90%를 국내에서 얻는 까닭에 손실이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 가능성은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정치적 메시지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관영 신화통신의 전날 보도에서 나왔습니다.

통신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의 대미 무역협상단 대표인 류허(劉鶴) 부총리와 함께 희토류 시설을 시찰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시 주석과 류 부총리의 행보를 중국이 미국과의 희토류 거래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했습니다.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지구촌의 거대 공급자이자 수요자로 입지를 굳힌 중국은 점점 더 자주 수출입을 무기로 휘두르고 있습니다.

그런 통상 무기화 중에서도 가장 먼저 거론되는 품목이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는 희토류였습니다.

중국은 2010년 동중국해에서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를 두고 일본과 갈등이 심화했을 때 일본에 희토류 수출 중단을 선언해 고통을 안긴 바 있습니다.

최근 미국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핵심부품 수출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통상을 무기화해 양국 갈등은 더 증폭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