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교통공사 "구의역 사고 2년만 지하철 안전문 고장 68% 감소"
입력 2019-05-21 08:21  | 수정 2019-05-28 09:05


서울교통공사는 2018년 서울 지하철 1∼8호선 승강장 안전문 고장 건수가 구의역 사고가 발생한 2016년과 비교해 68% 감소했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하루 평균 고장은 2016년 9.3건에서 2017년 3.7건, 2018년 3건으로 줄었고 올해는 4월 기준 2.2건을 기록했습니다.

여기서 '고장'은 관제센터에 들어온 승강장 안전문 장애 신고 중 주요 부품을 교체한 경우를 뜻합니다.

공사는 2016년 5월 28일 2호선 구의역 승강장 안전문을 수리하던 외주업체 직원이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승강장 안전문 안전성 강화 대책을 추진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승강장 안전문 정비직원은 146명에서 381명으로 늘어났습니다. 공사는 "어떤 상황에서도 2인 1조 작업 원칙을 지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존에 외주 용역업체가 맡았던 안전문 정비는 직영화했고 정비직원은 공사 정규직으로 전환했습니다.

승객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문 장애물검지센서는 레이저스캐너 방식으로 바꿔나가는 중입니다.

레이저스캐너 방식은 기존 포토센서나 에어리어센서 방식보다 설치 비용은 많이 들지만, 선로 측이 아닌 승강장에서 점검과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267개 역 1만 9천 24개의 센서를 교체했습니다.

공사는 장애물검지센서 이상 유무를 통합 관리할 모니터링 시스템을 10개 역에 올 연말까지 구축할 예정입니다.

2016년 당시 전수조사를 거쳐 안전문 전면 재시공을 결정했던 9개 역 중 8개 역의 교체 작업은 지난달 끝났습니다. 마지막 남은 5호선 우장산역은 6월이면 교체가 끝납니다.

공사는 "시민 안전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 통합 출범한 첫해인 2017년에 전년 대비 승강장 안전문 하루 평균 고장이 5.6건 감소했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