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에서 분양된 민간아파트 중 절반 이상이 9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직방이 2015년부터 서울에 분양된 민간아파트의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분양가 9억원 초과 물량은 2015년 12.9%, 2016년 9.1%, 2017년 10.8%에 머물다 2018년 29.2%로 2배 이상 늘더니 올해에는 48.8%로 급증했다.
특히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의 90%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몰렸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강북권 비율이 73.6%로 늘어나눈길을 끈다.
강남3구 민간분양아파트 중 분양가 9억원 초과 비율은 지난해 92.2%로 정점을 찍은 이후 올해 76.4%로 하락했다. 강북지역은 2017년 용산과 성동구에 공급된 대형 고가 아파트 영향으로 9억원 초과 아파트가 12.6%로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2018년까지 10% 미만을 보였지만, 올해 들어 마포·성동·광진·서대문 등지에서 9억원 초과 단지가 늘면서 45.4%로 크게 증가했다.
서울 권역별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 분양 비율 추이 [자료 = 직방]
분양가격을 구간별로 보면 8억원 초과~11억원 이하 구간의 비율이 커진 반면, 6억원 초과~8억원 이하 구간은 올해 들어서 급감했다. 분양가 6억원 초과~8억원 이하는 2018년 33.4%에서 2019년 4.4%로 감소했다. 분양가 8억원 초과~11억원 이하는 2018년 22.3%에서 2019년 44.9%로 두배가 증가했다.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어 청약당첨자들의 자금 조달 부담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택지지구 물량이 전무한 서울의 경우 공공이 나서 분양가를 조정할 여지가 적은 데다 재건축·재개발의 경우 일반물량의 분양가를 낮추면 조합원 분담금이 올라가는 사업 구조상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내재돼 있다.
최성헌 직방 연구원은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없는 분양가 9억원 초과도 자금조달에 부담이 크지만, 9억원 이하도 계약금이 소형 오피스텔 가격에 준하는 수준이어서 계약 포기자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청약성적에 비해 저조한 계약실적이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 책정 전략과 기조가 현재와 같은 흐름이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