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생애 첫 주택마련에 7년 걸린다…국민 10명 중 6명은 자가거주
입력 2019-05-16 16:44 
[자료 = 국토부]

가구주가 된 후 생애 첫 주택마련에 걸리는 기간이 2018년 기준 7.1년으로 2017년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2014년 이후 7년 내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지난해 자가거주 가구는 전체 가구의 57.7%로 2017년에 이어 조사 이래 역대 최고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보유한 가구도 61.1%로 2017년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점유형태는 자가(57.7%), 보증금 있는 월세(19.8%), 전세(15.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월세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까지 급증하다가 이후로는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국민들의 주거 수준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은 2017년 5.9%에서 2018년 5.7%로 감소하고, 1인당 주거면적은 2018년 31.7㎡로 전년(31.2㎡) 대비 소폭 증가했다.
전국 전월세 시장의 안정세로 임차가구의 RIR(월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은 2017년 17%에서 2018년 15.5%로 감소하는 등 임차가구의 주거비 부담도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2017.11),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2018.7) 등을 통해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주거지원이 강화되면서 이들의 주거 문제도 일부 개선되는 모양새다. 청년 가구는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비중이 감소(3.1→2.4%)하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10.5→9.4%)도 줄었다. 신혼부부는 내 집 마련 기회가 확대되면서 자가점유율이 큰 폭으로 증가(44.7→48.0%)했다.
수도권에서는 여전히 내 집 마련이 쉽지 않았다. 주택시장 안정세로 전국 PIR은 2017년 5.6배에서 2018년 5.5배로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해 국지적 과열이 발생한 수도권은 2017년 6.7배에서 2018년 6.9배로 소폭 상승했다.
정부 관계자는 "집이 없는 실수요자들이 집을 살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9.13대책 이후의 주택시장 안정세가 오랜 기간 보다 견고하게 유지돼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안정 정책을 흔들림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이번 조사를 통해 파악된 국민들의 주거실태 조사결과를 향후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등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