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해 '중·장거리 미사일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으나 속내는 복잡하다.
AP통신은 6일(현지시간) "북한은 새로운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하면서 차후에 그와 비슷한 행동을 추가로 하는 걸 막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도 함께 시험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최고위 참모들이 북한의 이번 발사체 발사에 대해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나서긴 했지만, 북한의 갑작스러운 '행동'은 미국의 역내 동맹들을 불안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통신은 이번 북한의 발사체 실험이 그 동안에도 미사일은 계속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풀이했다.
북한의 이번 발사체 발사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트윗을 통해 "김정은은 내가 그와 함께한다는 것을 알고 나와의 약속을 깨고 싶어하지 않는다. 합의는 이뤄질 것"이라며 북한의 추가 '도발' 행보를 견제하면서도 맞대응을 자제한 채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신중한 모드를 보였다.
북미협상을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5일 방송 인터뷰에서 발사체가 '단거리'라는 점을 들어 신중론을 유지했다.
미측은 이날 북한의 '아킬레스건'인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가 하면 북한의 FFVD(최종적이며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라는 목표를 재확인하는 등 일단 기존의 원칙을 견지했으나 북한에 대한 지나친 자극은 피하려는 듯한 모습도 보였다.
폼페이오 장관이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비핵화 협상 실패 시 "경로를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긴 했지만, 차기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싱가포르 이전' 즉 '화염과 분노'로 대변되는 거친 수사를 내뱉던 강공으로 회귀하는 것도 정치적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 딜레마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당분간은 '현상유지'에 주력하면서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는 쪽에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러나 북한의 발사체 발사 이후 미 의회 등 조야에서 대북제재등 압박 강화 주장이 잇따라 나오고 있는데다 트럼프식 대북 관여 드라이브에 대한 비판론도 강화되는 흐름도 있어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운신의 폭'이 좁아지는 대목이다.
이 때문에 북한의 추가 움직임 등 이후 향배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모드로 선회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