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민 절반 "현금없는 사회 가능"…지갑엔 평균 8만원
입력 2019-04-16 15:56  | 수정 2019-04-16 16:00

현금을 쓰는 빈도수가 줄어들면서 국민 절반이 '현금없는 사회'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소 갖고 다니는 현금은 약 8만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3년 전 약 12만원이었던 것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금 없는 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51.3%가 '있다'고 답했다. 이 중 '단기간 내 있다'는 응답은 15.9%였고, '중장기적으로 있다'는 응답이 35.4%였다. '낮거나 없다'고 답한 사람은 48.7%였다.
해마다 국민들이 지갑에 가지고 다니는 돈도 줄어들고 있다. 설문 당시 지갑이나 주머니에 현금 소지여부를 묻는 질문에 아직까지 98.2%가 '보유중'이라고 답했지만, 그 액수는 지난 조사(2015년) 당시 11만원 6000원에서 3년 만에 7만 8000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전체 가계가 거래용과 예비용을 모두 포함하여 보유한 평균 현금규모도 20만 3000원으로, 월평균 소득의 6.0%에 불과했다. 소득 대비 현금 보유 비중은 2015년 10.2%에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최근 1년간 현금보유가 감소한 가구(18.9%)가 증가한 가구(4.5%)보다 월등히 많았다. 현금 보유 감소 이유는 '간편 송금 서비스 개발'(38.7%)과 '현금 도난위험 등 비 용부담'(24.3%) 등으로 나타났다.
지급수단별 지출도 2015년에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가 비슷했지만, 지난해 경우는 현금(32.1%)보다 신용·체크카드(52.0%)가 훨씬 더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수록 가지고 다니는 현금도, 쓰는 경우도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현금없는 사회로의 이행은 아직 어렵다는 판단이다. 김성용 화폐연구팀 팀장은 "현금 사용이 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금의 필요성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누구나 어디서나 어렵지 않게 쓸 수 있는게 현금의 장점"이라고 했다. 이어 "노인, 학생, 외국인 등 일부 취약계층은 현금이 없으면 거래의 어려움을 크게 느낄 것이고, 전기공급이 끊긴다는 등 비상시에는 현금이 유용하다"며 "현금은 신용카드와 달리 거래의 익명성을 보장해준다는 특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현금 없는 사회로의 이행시 긍정적 효과로 국민들은 '탈세방지 및 지하 경제 축소'(42.3%), '현금의 도난분실 위험 및 보관비용 감소'(29.5%), '현금 관련 강력범죄 단절'(17.6%) 순으로 답했다. 반면 이행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노인 등 일부 계층의 거래 불편'(36.4%), '비상시 경제활동에 어려움'(23.5%)을 꼽았다.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