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입지가 결정되자 부산, 울산, 경북 등 지자체는 표면적으로는 탈원전으로 침체된 원전 산업의 돌파구가 마련됐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연구소가 들어서는 부산 기장군은 오규석 군수가 양해각서(MOU) 체결식에 참석하지 않는 등 강하게 반발하는 등 지역 간 희비가 엇갈렸다.
울산시는 15일 "원전해체연구소의 울산 부산 공동 유치는 경쟁보다는 소통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대표적인 상생 모델로 울산에서는 2500여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세계 1위 원전해체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국가 비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전 관련 연구개발(R&D) 기업이 몰려 있는 울산 원전 업계도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났다. 울산의 한 원전 관련 업체 관계자는 "원전 해체 산업이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원전 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원전 해체 산업이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부산 기장군과 주민들은 "주민과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기장군민 수십여명은 이날 고리원전 앞에서 입지 결정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오규석 기장군수도 정부 결정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MOU 체결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오 군수는 "원전해체연구소 공동 유치는 40년 동안 원전지역에 살며 희생을 감수한 기장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지역 간 나눠먹기 식으로 연구소를 유치하겠다는 생각은 밀실 결정이다"라고 비판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중수로 해체연구소라도 유치했다는 데 의미를 두는 분위기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허탈감 속에 '나눠먹기 유치'라는 반발 기류가 여전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원전해체연구소 전체가 아닌 중수로만 온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며 "중수로 해체기술원이 많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 측면이 있지만 경수로 부문까지 유치하지 못한 지역민의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서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