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신미래 기자] 배우 전도연의 오열과 설경구의 묵직한 진심이 만들어낸 슬픔이 결국 보는 이를 울리고 만다. 그들이 보낸 ‘생일, 순식간에 관객은 그들과 함께 생일 모임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날, 남겨진 이들이 서로가 간직한 기억을 함께 나누는 이야기를 담았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유가족의 이야기다.
극 중 전도연과 설경구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아들 수호를 잃어버린 부모 순남과 정일을 맡았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의 아픔을 다룬 ‘생일은 무엇보다 유가족의 감정에 집중했다. 사랑하는 이가 떠난 후 그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것이다.
아들이 죽었다는 것을 믿지 않고, 돌아오길 기다리는 순남, 아들의 죽음을 회피하는 정일의 모습은 관객들의 감정을 휘몰아치게 만든다. 특히 극의 초반부부터 설경구와 전도연은 눈빛만으로도 먹먹함을 안기는데, 이와 같은 감정은 러닝타임 내내 온몸을 휘감는다. 두 배우의 감정을 이끄는 힘은 다시 한 번 감탄을 자아낸다.
또 초반부의 먹먹함은 깊이가 더해져, 이토록 울었나 싶을 정도로 관객의 머리 아닌 가슴을 파고든다. 전해진 진심은 눈물을 타고 흘렀고, 가슴의 저릿함을 느껴질 정도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스크린 안의 배우들의 흐느낌인지, 보는 이들의 흐느낌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동화되면서 그들의 모임 안으로 스며들게 된다. 순남(전도연 분)의 오열은 슬픔이 억누르고, 이에 벗어나지 못한다는 느낌보다, 모든 것을 쏟아내 오히려 자신뿐 아니라 위로한다는 느낌을 안겼다.
전도연과 설경구가 보낸 ‘생일, 슬픔 속에서 서로에게 위로를 건네는 모습은 아릿하지만 희망적인 메시지를 보여주는 듯 했다. 추억은 세월이 흐르면 조작되기도, 삭제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추억을 기억한다면, 잊히지 않을 것이다. 바로 이것이 영화 ‘생일이 말하고자한 메시지가 아닐까 싶다. 오는 4월3일 개봉한다. 신미래 기자 shinmirae93@mkculture.com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날, 남겨진 이들이 서로가 간직한 기억을 함께 나누는 이야기를 담았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유가족의 이야기다.
극 중 전도연과 설경구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아들 수호를 잃어버린 부모 순남과 정일을 맡았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의 아픔을 다룬 ‘생일은 무엇보다 유가족의 감정에 집중했다. 사랑하는 이가 떠난 후 그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것이다.
아들이 죽었다는 것을 믿지 않고, 돌아오길 기다리는 순남, 아들의 죽음을 회피하는 정일의 모습은 관객들의 감정을 휘몰아치게 만든다. 특히 극의 초반부부터 설경구와 전도연은 눈빛만으로도 먹먹함을 안기는데, 이와 같은 감정은 러닝타임 내내 온몸을 휘감는다. 두 배우의 감정을 이끄는 힘은 다시 한 번 감탄을 자아낸다.
또 초반부의 먹먹함은 깊이가 더해져, 이토록 울었나 싶을 정도로 관객의 머리 아닌 가슴을 파고든다. 전해진 진심은 눈물을 타고 흘렀고, 가슴의 저릿함을 느껴질 정도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스크린 안의 배우들의 흐느낌인지, 보는 이들의 흐느낌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동화되면서 그들의 모임 안으로 스며들게 된다. 순남(전도연 분)의 오열은 슬픔이 억누르고, 이에 벗어나지 못한다는 느낌보다, 모든 것을 쏟아내 오히려 자신뿐 아니라 위로한다는 느낌을 안겼다.
전도연과 설경구가 보낸 ‘생일, 슬픔 속에서 서로에게 위로를 건네는 모습은 아릿하지만 희망적인 메시지를 보여주는 듯 했다. 추억은 세월이 흐르면 조작되기도, 삭제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추억을 기억한다면, 잊히지 않을 것이다. 바로 이것이 영화 ‘생일이 말하고자한 메시지가 아닐까 싶다. 오는 4월3일 개봉한다. 신미래 기자 shinmirae93@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