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올해 서울 멸실주택보다 입주물량 많아진다
입력 2019-01-31 11:40 
[자료 = 부동산114]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4만3106세대인데 반해 멸실주택 수는 예년대비 15%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114가 서울에서 진행 중인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현황 조사 결과, 올해 멸실이 예상되는 주택 수는 3만7675세대로 집계됐다. 최근 3년 동안 서울에서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연평균 4만4000세대 가량이 멸실됐던 점에 비춰보면 5000~6000세대 감소한 수준이다.
정부의 투기수요 억제 정책으로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추진 속도가 과거보다 느려진 점에 비춰보면, 입주물량의 순증 영향에 따라 서울의 전세가격 안정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2015년 이후부터 작년까지는 멸실되는 주택이 입주하는 물량보다 많아 희소성이 강하게 부각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반면 올해는 멸실 대비 입주물량이 5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면서 전세가격 안정세와 더불어 매매가격의 약세 요인으로도 작용하는 분위기다. 특히 올해 입주 물량은 확정된 반면 멸실은 정비사업 지연 여부에 따라 실제로는 멸실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희소성이 서울의 가격을 밀어올리는 장세는 당분간 기대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내년 예정된 서울 입주물량도 4만세대 수준으로 당분간 안정적인 주택 공급이 예상된다. 다만 2021년 이후에는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의 사업 추진 지연에 따라 신규 입주물량이 1~2만세대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집값 불안의 불씨는 여전히 잠재돼 있다. 택지공급이 제한적인 서울의 주택 공급은 정비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작년 말 정부와 서울시가 3기신도시와 서울 도심 내 유휴부지에 대한 개발구상을 밝혔지만 서울로 진입하려는 수요가 여전한 만큼 재건축·재개발의 활성화 외에는 정책 대응이 쉽지 않다"며 "투기과열지구 지정과 기부채납, 초과이익환수 등의 수익환수 제도로 인해 과거보다 투기수요가 진입하기 쉽지 않은 상황인 만큼, 용적률 상향이나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등을 통해 서울 지역의 중장기 공급 감소에 대한 대응책도 함께 고민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