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에 인공기능(AI) 기술을 적용해 취업, 육아, 의료 등 다양한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확대합니다.
군인, 환자,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인프라를 개선하고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도서관을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서 공동체를 강화하는 소통과 교류, 체험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세부 방안들도 마련됐습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습니다.
도서관법에 근거해 각 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이번 계획에는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 가치로 삼아 마련한 4대 전략방향(목표)과 13개 핵심과제, 36개 추진과제가 담겼습니다.
이를 통해 2017년 말 현재 1천42개인 공공도서관 수를 2023년까지 1천468개로 늘리고, 작은도서관 수도 같은 기간 6천58개에서 6천820개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2.03권에서 2.5권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우선 도서관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역량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전 생애주기와 관련된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에 대한 연구와 수요조사에 기반해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이용자 맞춤형 추천(큐레이션) 정보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전문도서관은 기후·의료·공공정보 등 생활 밀착형 전문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국회도서관은 국민을 위한 의회·법률정보 서비스를 강화하고, 법원도서관은 국가법률정보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합니다.
지역 주민의 수요 충족을 위한 서비스를 보급하고, 도서관 및 지자체 간 공동협력 사업 등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고령화, 국제화, 정보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도서관에 최적화한 정보불평등 지수 측정 도구를 개발해 활용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보와 매체 활용 교육을 강화합니다.
군인, 환자, 수용자, 장애인 등 특수 환경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 기반시설(인프라)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공간적 측면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휴식공간, 카페 등 개방 공간을 늘리고, 지진·한파 등 각종 재난 시 안전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또한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도서관시설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문화·인문교육, 아이돌봄 서비스,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 사회서비스와 도서관서비스의 연계를 강화할 계획입ㄴ;다. 재외 한국인을 위한 서비스와 다문화 서비스도 활성화합니다.
미래형 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고 혁신 서비스도 도입합니다.
도서관 인력 충원과 사서 재교육을 진행해 조직역량을 강화하고, 범부처 차원의 도서관 정책기구로서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역할도 높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을 연결하는 국가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남북한 도서관 교류·협력 방안 마련, 국제교류 강화 등을 통해 국내외 도서관 협력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이밖에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해 자유롭게 학술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오픈액세스'를 확대합니다.
또한 최신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도서관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모바일 디지털 서비스, 도서관 인공지능(L-AI) 서비스, 사물인터넷 기반 도서관 등 미래지향적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군인, 환자,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인프라를 개선하고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도서관을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서 공동체를 강화하는 소통과 교류, 체험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세부 방안들도 마련됐습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습니다.
도서관법에 근거해 각 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이번 계획에는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 가치로 삼아 마련한 4대 전략방향(목표)과 13개 핵심과제, 36개 추진과제가 담겼습니다.
이를 통해 2017년 말 현재 1천42개인 공공도서관 수를 2023년까지 1천468개로 늘리고, 작은도서관 수도 같은 기간 6천58개에서 6천820개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2.03권에서 2.5권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우선 도서관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역량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전 생애주기와 관련된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에 대한 연구와 수요조사에 기반해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이용자 맞춤형 추천(큐레이션) 정보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전문도서관은 기후·의료·공공정보 등 생활 밀착형 전문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국회도서관은 국민을 위한 의회·법률정보 서비스를 강화하고, 법원도서관은 국가법률정보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합니다.
지역 주민의 수요 충족을 위한 서비스를 보급하고, 도서관 및 지자체 간 공동협력 사업 등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고령화, 국제화, 정보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도서관에 최적화한 정보불평등 지수 측정 도구를 개발해 활용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보와 매체 활용 교육을 강화합니다.
군인, 환자, 수용자, 장애인 등 특수 환경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 기반시설(인프라)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공간적 측면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휴식공간, 카페 등 개방 공간을 늘리고, 지진·한파 등 각종 재난 시 안전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또한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도서관시설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문화·인문교육, 아이돌봄 서비스,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 사회서비스와 도서관서비스의 연계를 강화할 계획입ㄴ;다. 재외 한국인을 위한 서비스와 다문화 서비스도 활성화합니다.
미래형 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고 혁신 서비스도 도입합니다.
도서관 인력 충원과 사서 재교육을 진행해 조직역량을 강화하고, 범부처 차원의 도서관 정책기구로서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역할도 높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을 연결하는 국가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남북한 도서관 교류·협력 방안 마련, 국제교류 강화 등을 통해 국내외 도서관 협력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이밖에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해 자유롭게 학술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오픈액세스'를 확대합니다.
또한 최신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도서관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모바일 디지털 서비스, 도서관 인공지능(L-AI) 서비스, 사물인터넷 기반 도서관 등 미래지향적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