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구조 요청자의 실제 위치를 오차 50m 이내로 더 정밀하게 파악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야 골든타임 내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 소방청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간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밀측위 기술의 핵심은 구조요청자의 실제 위치와 긴급구조시스템를 통해 파악된 위치의 오차 범위를 50m 이내로 줄이는 것이다.
그동안엔 해당 오차가 100m 이상 차이가 나 경찰, 소방 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에 충돌했으나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존에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해 실외는 물론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이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오차 범위를 50m 이하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과기부는 또 알뜰폰 등은 긴급구조 당시 위치가 파악이 잘 되지 않았는데, 앞으로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경찰청과 소방청은 과기부에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정밀측위 기술을 실제에 접목하는 실증사업을 수행한다.
과기부 관계자는 "국민, 경찰, 소방관 등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현장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으로 추진해 연구 성과물의 완성도를 높일 것"이라며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