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재정정보 유출의혹' 심재철 검찰 출석…"정부가 누명 씌워 재갈 물린다"
입력 2018-12-20 15:27  | 수정 2018-12-27 16:05

기획재정부의 미공개·미인가 예산자료 100만건 이상을 무단으로 열람·유출한 의혹을 받는 자유한국당 심재철 의원이 오늘(20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이진수 부장검사)는 이날 오후 2시 심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입니다.

검찰은 심 의원을 상대로 보좌관들에게 미인가 자료 다운로드를 지시했는지, 자료 다운로드와 외부 공개에 위법 소지가 있다는 점을 알았는지 등을 물을 계획입니다.

이날 심 의원은 검찰 조사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정부 여당이 의정활동에 국가 기밀 탈취와 누설이라는 누명을 씌워 국회의원의 입에 재갈을 물리려 하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같은 당 최교일·강효상·추경호·박대출 의원과 함께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심 의원은 "제 보좌진들은 정부가 발급해 준 아이디로 국가예산회계시스템에 정당하게 접속해 국가 기관의 잘못된 행위를 파악해 국민께 알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만약 제가 정부의 잘못을 보고도 눈 감는다면 그것이야말로 국회의원으로서 맡은 바 책임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가 보좌진과 자신의 통신 기록을 조회한 것을 두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심 의원은 "검사 배정이 되자마자 의원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의원실 전 직원과 의원 가족에 대한 통신 정보조회를 하고, 의원 업무추진비를 사찰한 정황 등은 가히 사찰공화국이라 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심 의원실의 예산자료 유출 의혹은 지난 9월 17일 기획재정부가 심 의원 보좌진 3명을 정보통신망법 및 전자정부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면서 촉발됐습니다.

기재부는 심 의원 보좌진이 정부 재정정보분석시스템(OLAP)에 190여 차례 비정상적 방법으로 접속해 대통령비서실, 국무총리실, 대법원 등 30여개 정부 기관의 미인가 행정정보 100만건 이상을 내려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OLAP는 정부·국회 등에서 요구하는 재정 통계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ID를 발급받으면 제한된 범위에서 열람·내려받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심 의원 보좌진은 허용 범위를 넘어 자료를 가져갔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백스페이스키를 누르다 우연히 미인가 영역에 접속하게 된 것"이라고 팽팽히 맞서왔습니다.

심 의원은 시스템 오류 때문에 자료가 노출된 것이지 해킹 같은 불법적 방법을 쓰지 않았다며 국회에서 접속 과정을 시연하고, 보좌진에 이어 자신을 고발한 기재부를 무고 혐의로 맞고소했습니다.


심 의원은 내려받은 자료들을 토대로 청와대가 심야·주말 업무추진비로 총 2억4천여만원을 부적절하게 사용했고, 주막·이자카야 등 술집에서도 쓰는 등 예산을 불법·편법으로 집행한 소지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기재부는 심 의원 주장대로 우연히 미인가 자료에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그 불법성을 인지한 이후에도 집중적으로 자료를 내려받은 게 적법한지는 수사를 통해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또 미인가 예산정보에 접근한 복잡한 과정이 해킹에 가깝다는 의구심을 제기해왔습니다.

기재부가 현직 의원을 검찰에 고발한 것은 처음 있는 일입니다.

그간 검찰은 심 의원실에서 쓰던 컴퓨터 등을 압수수색해 심 의원 보좌진이 미인가 예산자료를 다운로드 받은 구체적 경로와 횟수 등을 규명하는 데 집중해왔습니다.

국회 회기 중이라 검찰 조사를 받지 않았던 심 의원 조사가 마무리되면 검찰의 기소 여부 판단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