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청약시장도 양극화…지역간 `골` 깊어져
입력 2018-12-12 17:29  | 수정 2018-12-12 20:40
고려개발과 대림산업이 대전 서구 둔산동에서 올해 초 분양한 `e편한세상 둔산`(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 321대1) 주택전시관에 예비 청약자들이 몰려 있다. [사진 제공 = 대림산업]
올해는 아파트 가격뿐만 아니라 청약 시장에서도 '똘똘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갈리며 양극화가 극심해진 한 해로 평가될 전망이다. 폭발력 있는 수요가 있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지방 중에서도 공급이 극히 적었던 대구와 대전 등 일부 광역시는 수십 대 1을 넘어 수백 대 1의 평균 청약경쟁률을 쓰며 승승장구한 반면, 지역 기반 산업이 무너지고 규제의 유탄을 맞은 지방 아파트 청약 성적은 작년보다 더 악화했기 때문이다.
12일 부동산 시장조사기관 리얼투데이와 매일경제가 올해 들어 12월 12일까지 전국 총 348개 단지의 아파트 청약을 공동 분석한 결과,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이 15대 1로 조사됐다. 평균 경쟁률로는 상당히 높은 숫자다.
그러나 이는 상위권 청약경쟁률이 워낙 높아 나온 착시 효과다. 가장 경쟁률이 높았던 상위 5곳의 평균 경쟁률은 46대 1에 달했다. 작년 상위 5개 단지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인 36대 1보다 28%가량 높아진 수치다.
반면 경쟁률 하위 5개 단지 경쟁률은 더 바닥으로 주저앉았다.

작년 3대 1이었던 경쟁률은 올해 1대 1로 간신히 마감한 수준에 그쳤다. 상위 5곳의 경쟁률은 대폭 올라간 반면 하위 5곳의 경쟁률은 완전히 고꾸라지며 양극화를 심화시킨 셈이다.
작년 경쟁률 11대 1로 평균보다 낮았던 대전광역시는 무려 7배 이상 높아진 79대 1의 평균 경쟁률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청약경쟁이 치열했다. 이어 대구(45대 1), 광주(39대 1), 세종(37대 1), 서울(29대 1) 순이었다.
충청, 경상, 전라도를 대표하는 지역 거점 광역시가 나란히 1순위 청약경쟁률 1~3위에 올랐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본부장은 "3곳 모두 구도심이 넓게 발달했지만 공급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노후 아파트가 많아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곳"이라고 말했다.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가 가속화하면서 지방에서도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지방 거점 도시의 도심을 중심으로 몰려들었다는 얘기다.
실제 올해 청약경쟁률 상위 10곳 중 절반을 넘는 곳이 이곳 3대 광역시에서 나오는 등 올해 청약 시장에서 지역 거점 광역시 선전은 돋보였다. 올해 들어 가파르게 집값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시 역시 작년 1순위 청약경쟁률(12.86대1)보다 2배 이상 오른 경쟁률로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다만 서울은 집값 자체가 타 지역보다 월등히 높아 실제 청약 신청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직장과 연계한 직주근접 수요가 나눠져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처럼 공급이 그동안 적었던 거점 광역시와 서울·경기가 '청약 불패' 신화를 이어간 반면 조선·철강산업 등 지역 기반 산업이 크게 흔들린 지방의 청약경쟁률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작년 6대 1 경쟁률을 보였던 울산은 올해 민간분양 물량이 '0건'을 기록하며 아예 청약 시장에서 철수했다. 국내 조선소가 대거 몰려 있는 경남지역은 평균 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사실상 대부분 집이 미분양 상태인 것이다.
작년 청약경쟁률 3위(44대 1)를 기록했던 부산 역시 올해 평균 8대 1로 무려 83% 이상 경쟁률이 낮아졌다. 이는 올해 최대 청약경쟁률 감소폭이다. 2년 전 68대 1의 경쟁률로 청약 광풍이 불었던 제주시 역시 작년 5대 1에 이어 올해 2대 1의 경쟁률로 완전히 고꾸라졌다.
한국감정원이 지난주 발표한 아파트 시세 조사에 의하면 서울, 광주, 대구는 올해 각각 7.07%, 4.05%, 3.18% 상승해 가격 상승률도 1~3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울산과 경남은 올해 들어 각각 -10.65%, -9.7%의 아파트 가격 변동률로 역대급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방에서 집값 추락과 미분양 발생, 미분양 적체에 따른 추가 집값 하락 등 악순환 고리가 이어지자 정부의 탄력적인 규제 강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경기 침체 직격탄을 맞은 부산은 7곳의 조정대상지역 중 기장군을 제외한 6곳이 조정대상지로 묶여 있다. 부산시는 지금까지 국토교통부와 국회 등에 모두 9차례에 걸쳐 부동산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요청한 바 있지만 아직까지 정부는 규제 완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청약 시장의 양극화는 실제 입주가 이뤄지는 2~3년 후 시장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며 "서울·수도권 집값을 잡는 데 집중하고 있는데 정부의 규제정책이 지방 청약 시장 활성화도 이뤄질 수 있도록 미분양 물량 해소 정책과 시장 활성화 정책을 잘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추동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