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 비용의 절반을 대출로 조달할 경우, 서울의 이자비용의 전국에서 가장 높은데다가 전국 평균의 2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상이 현실화된다면 아파트 가격 상승동력이 상실될 것이라는 분석도 함께 나왔다.
앞서 미국은 지난 9월 26일 기준금리를 2.00~2.25%로 인상시킨데 이어 연내 1차례, 2019년에는 3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후 한국은행은 국내 기준금리를 즉각 올리진 않았지만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총재가 '금융불균형'을 언급해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는 총리와 국토부장관이 '서울 아파트가격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금리인상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직방이 8일 아파트 실거래가격의 50%를 주택담보대출로 조달하는 조건으로 이자비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연간 금융비용은 전국 579만원, 서울 1109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2006년 실거래가 발표 이후 가장 높은 금융비용이 발생했고, 서울은 2011년(1116만원) 이후 최고치다.
경기·인천은 812만원, 지방은 356만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해 지난 2015년 금리하락 등으로 금융비용이 가장 낮게 형성된 이후 올해까지 비교적 큰 폭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금리(신규취급액기준)은 2016년 2.91%까지 하락한 이후 점차 상승하면서 지난해 3.27% 오른데 이어 올해는 8월까지 평균 3.45%로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으로 이자비용도 늘고 있지만, 지난해 이자비용이 급등한 것은 서울 강남 3구 등의 아파트 거래가격 상승이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특히 올해 3분기인 7월과 8월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44%(7월), 3.36%(8월)로 떨어졌으나 수도권에서는 거래 비용이 상승해 전체 이자비용이 증가했다. 7월부터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거래가격이 상승한 것이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금융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금리는 지난해 12월 3.42%로 상승한 이후 3.4%대의 금리가 유지됐다. 올해 8월은 금리가 하락하면서 3.36%까지 떨어졌지만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거래가격이 상승하면서 조달해야 하는 자금이 늘어나 이자비용 증가의 원인이 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국내 기준금리 동결이 유지되는 가운데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금융비용 부담은 늘어나고 있다. 8.2대책에 이어 9.13대책에 다른 대출규제 강화에 더해 국내 금리인상까지 본격화되면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도 동반될 전망"이라며 "종합부동산세 강화에 이어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면 수익성 저하로 투자 수요는 더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