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 연관성이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 전체와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이하 도시재생사업)의 주택거래가격 증감율을 주택유형별로 전수조사해 분석한 결과로 분석기간은 서울시가 도시재생활성화 시범사업지역을 지정·발표한 2014년 말 이후인 2015년 1월~2017년 7월이다.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중 주택 거래건수가 부족한 일부 지역(창동상계, 장안평, 세운상가 등)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을 분석대상으로 했다.
우선 도시재생사업 지정 이후 3년 평균 서울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 아파트 모든 유형에서 8%로 나타나 도시재생사업 지역의 평균 주택매매가격 증가율(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과 대동소이했다.
또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과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유사하거나 일부 유형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도시재생사업구역인 해방촌 지역의 경우 단독/다가구(해방촌 12.4%, 용산구 14.0%)는 용산구 평균 증가율과 비슷하였으며, 다세대/연립(해방촌 4.2%, 용산구 8.5%), 아파트(해방촌 ?6.2%, 용산구 8.2%)는 용산구 평균 증가율보다 낮았다.
다만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 등 일부 도시재생사업구역은 지역자체의 여건과 상승요인으로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 및 ㎡당 가격이 해당 자치구보다 높았다.
한편 해당 기간 강남4구의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 증가율은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인 8%보다 높은 12.4%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이는 시민들이 강남권의 아파트를 여전히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도시재생활성화사업보다는 재건축과 같은 행위가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서울시는 아직 1단계 도시재생지역이 완료되지 않았고 일부 국부적으로 지역의 가격이 최근 급등한 자료가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나갈 예정이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도시재생사업 지역 주택 매매가격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재생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한다"며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사전에 감지하고 투기를 예방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