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APBC 결산] 성과만큼 절감한 한계, 더 중요해진 준비의 가치
입력 2017-11-20 06:40  | 수정 2017-11-20 06:46
대표팀이 아쉽게 일본에 두 번이나 무릎을 꿇었다. 기본기 단련 등이 과제로 남겨진 이번 APBC대회다. 사진(日도쿄)=천정환 기자
[매경닷컴 MK스포츠(日도쿄) 황석조 기자] 그토록 분투를 다짐했지만 맥없이 무릎을 꿇고 말았다. 성과가 있으나 분명한 한계도 절감한, 선동열호다.
선동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야구대표팀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APBC 2017 대회를 마쳤다. 최종성적은 1승2패. 개막전서 일본에 패했으나 대만을 꺾고 결승전에 올랐다. 다만 결승서도 일본을 넘지 못하며 이번 대회 우승, 혹은 그 이상의 환희를 느끼는 데는 실패했다.
이번 대표팀은 단 며칠 동안 만에 그간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성공했고 적지 않은 소득도 얻었다. 지난 WBC(월드베이스볼클래식) 참패를 어느 정도 희석 시켜 줄 정도의 효과도 분명 성과였다.
다만 전날(19일) 결승전이 말해주듯 전력에 있어 한계를 절감할 수밖에 없는 부분도 분명했던 사실. 개막전 아쉬운 패배는 물론 결승전 무기력한 패배 모두 종합적으로 일본을 누를 만한 한 방이 부족했다는 설명이 가능했다. 리드하고도 지켜내지 못한 투수진, 찬스 때 도망가지 못한 타선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소위 한 방이 부족했다.
이는 결국 전력 차가 컸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볼넷 남발, 의욕에 힘입은 무리한 플레이, 아쉬운 공격력 등은 시간이 갈수록, 경기가 거듭될수록 일본과 차이를 야기했다. 단기전에서는 순간 집중력 등이 중요하지만 기본기가 있는 플레이가 바탕이 돼야 하기 때문인데 이 부분에서 차이가 났던 것이다.
선 감독도 선수들이 대표팀에 합류하기 전 몸을 어느 정도 만드는 준비성이 필요하다 힘주어 말했다. 대회를 직접 치르다보니 준비가 된 선수와 그렇지 않은 선수의 몸상태가 확연히 차이 났다는 것. 두 경기에 등판해 대표팀 위기상황을 모두 매조지은 장필준의 경우 오키나와에서 소속팀 삼성 마무리캠프 훈련 중 대표팀에 합류했다. 이미 캠프에서 불펜피칭까지 할 정도로 몸을 끌어올렸고 이는 호투로 이어졌다. 선 감독은 장필준의 사례를 칭찬하며 준비된 자의 야구가 필요하다고 수차례 목소리 높였다.
선동열 감독은 남은 3년여 시간 기본기 등을 강조하며 국가대표팀을 운영하겠다는 복안을 밝혔다. 사진(日도쿄)=천정환 기자
선 감독은 전반적인 야구시스템에 있어서 기본기가 더 강조돼야 한다고도 말했다. 어린 선수들이 힘으로만 던진다는 것. 기본을 갖추고 그에 맞는 훈련을 펼쳐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선 감독은 더 나아가 육성, 유소년 야구 시스템 등 전반에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며 향후 보완하고 설명해나갈 사안에 대해서는 쓴소리와 책임감 섞인 희망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선 감독은 이번 대회의 의미에 대해 경험을 키우는 곳”라고 강조했다. 당장이 목표가 아니라 향후 내년 아시안게임, 궁극적으로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바라봐야 하기에 거기에 맞춰 준비하고 발전해야 한다는 의미. 젊은 선수들의 이번 대회 참가는 그 시작이라는 점에서 단순 결과보다 과정을 주목하는 방향을 택했다.
그리고 대회가 끝났다. 기대 이상의 소득을 분명 얻었다. 미래가치도 발견했다. 다만 그만큼의 격차 역시 확인했다. 아시아야구의 절대강자는 없지만 일본과의 그 미세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쉽지 않은 과정이 필요함도 다시 깨달았다. 선 감독과 앞으로의 대표팀에게 주어진 과제이자 미션이다.
[hhssjj27@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