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21개 구 가운데 다주택가구 대비 무주택가구의 비율이 낮은 곳은 서초구를 비롯한 '강남3구'였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만큼 다주택가구는 많고 무주택가구는 적다는 의미로, 부동산 자산가들이 이들 지역에 밀집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18일 통계청의 '2016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서울시 각 구를 대상으로 작년 11월 1일 기준 무주택가구와 다주택가구의 배율(무주택가구÷다주택가구)을 분석한 결과 서초구가 2.35배로 가장 낮았습니다.
그 뒤로는 도봉구(2.58배), 양천구(2.64배), 송파구(2.92배), 강남구(2.94배) 순이었습니다.
양천구와 이른바 강남3구에서 이 배율이 낮은 것은 일단 그만큼 다른 구에 비해 다주택가구가 많기 때문입니다.
전체 주택 소유 가구 중 다주택가구의 비율의 서울 평균은 13.7%였습니다.
하지만 서초구는 19.4%, 강남구 17.5%, 송파구 16.5%, 양천구 16.1%를 기록하는 등 평균을 훨씬 웃돌았습니다.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부동산 투자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고, 가구 소득도 높아 주택 자가 소유도 많은 곳입니다.
도봉구가 이 배율이 낮은 이유는 다주택가구가 많다기보다는 무주택가구가 다른 구에 비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도봉구의 무주택가구 비율은 38.7%로 서울 전체 구 중 가장 낮았습니다.
반대로 이 배율이 가장 높은 구는 관악구였습니다. 6.5배로 21개 구 가운데 유일하게 6배 이상이었습니다.
관악구는 21개 구 중 유일하게 전체 가구 중 무주택가구 비율이 60%(62.3%)를 넘고, 다주택가구의 비율이 한 자리(9.6%)인 곳이었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저금리 기조와 함께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 등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시장 규제 완화 정책의 영향으로 양극화가 심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전국으로 봤을 때 다주택가구는 289만3천 가구로, 전년보다 16만8천가구 늘어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8·2 부동산 대책 등 정부의 주택 안정화 대책을 시행하기 전에 이뤄진 것입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시행되기 전의 상황이라서 부동산 대책의 효과는 올해 연말 상황을 담은 내년 이후 발표에서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