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김솔지 기자] 영화 ‘귀향이 두 번째 이야기로 돌아왔다.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과 뒷이야기를 더해 탄생됐다.
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된 영화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 언론시사회에는 조정래 감독과 배우 강하나, 박지희 등이 참석했다.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2016년 개봉한 ‘귀향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나눔의 집에서 제공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 영상을 더해 만든 작품이다.
연출을 맡은 조정래 감독은 ‘귀향, 소녀들의 이야기는 많은 국민들이 도와주고 후원해주신 영화다. 지난 1년 반 동안 전 세계 10개 나라, 61개 도시를 돌면서 상영회를 했다. 9만2000회가 넘는 상영회를 하면서 외국인들이 많은 눈물을 흘렸다. 특히 반성하는 일본인도 많이 만났다”면서 많은 충격을 받은 외국인들이 ‘이것이 정말 사실이냐는 질문을 많이 던졌다. 그때부터 저희는 이번 영화를 준비해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와 끔직한 고통들이 모두 사실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전 세계 알리기 위해 만들게 됐다”며 영화 제작 계기를 밝혔다.
조 감독은 영화를 제작하는 동안 달라진 점에 대해 ‘귀향 본편 이후에 많은 분들이 알다시피 이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본편 당시 46명이 살아 계셨지만, 지금은 3명의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35명의 할머니만 살아계신다. 대부분이 거동도 불편하고, 말씀도 잘 못하신다. 오늘 오후에 있는 vip시사회에도 할머니가 오신다고 하는데, 사실 그 조차도 힘들다. 나눔의 집을 다녀온 이후로 나의 인생이 바뀌었다. 나는 오늘 이 자리에 영화감독으로서가 아니라, 나눔의 집의 할머니를 위한 봉사자중 한명으로 자리했다.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사명이다. 일본은 정말 반드시 사죄하길 바란다. 당신들의 미래 후손을 위해서라도”라고 말했다.
배우 강하나는 이번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제가 연기 했던 정민이가 마지막에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이 가장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 장면을 보면서 부디 타향에서 돌아가신 소녀의 영혼이 모두 고향집으로 돌아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마음을 많이 하게 됐다. 그래서 그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옥선 할머니가 ‘거기는 위안소가 아니라 사람을 잡는 사형소와 같았다라고 말씀하셨는데 큰 충격을 받았다. 그 당시 위안소에서 있었던 일들이 얼마나 잔인하고 끔찍했을까 라는 생각을 하니까 마음이 아팠다”고 덧붙였다.
박지희는 앞으로 이 땅에 전쟁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많이 알려져서 많은 관심을 받고 앞으로도 근본적 해결이 될 수 있도록 길잡이같은 역할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조정래 감독은 나도 영화를 연출하며 고통스러웠다. 할머니들의 말씀을 듣고 과거의 일들에 충격을 받았다. 할머니들께서 성적인 학대와 폭행을 당했는데, 살아 돌아오지 못하신 분들이 너무 많았다. 14년간 이 영화를 만들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남자 감독으로서 이걸 만들 자격이 있느냐는 것이었다. 그래서 고통스러웠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할머니들께서 겪으신 일을 문화적 증거로 남기기 위해 최소한의 표현을 해야 했다. 영화를 가장 먼저 ‘나눔의 집 할머니들께 보여드렸는데 많이 떨렸다. 할머니들께서 고통스러워하실 거라 생각했는데, 이옥순 할머니께서 우리들에게 장면마다 해설을 해주셨다. 할머니께서 영화를 보시고 ‘이 영화는 내가 겪은 것의 1/100도 표현하지 못했다고 하셨다. 그 이후에 할머니와 함께 증언회와 영화 상영회를 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들어하실 관객들에게 감독 개인으로서 죄송하다는 말씀도 드리고 싶다”고 전했다.
또한 조 감독은 하지만 당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 영화를 보실 때 여성의 몸을 보지 마시고 고통의 순간을 알아 달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영화 속에서 ‘아리랑을 부르는 장면을 삽입한 이유에 대해 얼마 전에 중국에 다녀왔다. 흥행 돌풍을 일으킨 ‘22라는 영화를 대만에서 봤다. 그 안에는 조선에서 끌려가서 고향에 돌아오지 못한 박차순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놀랍게도 구오커 감독이 아리랑 전곡을 실어줬다. 그 분께서 길을 잃고 헤매고 있을 때 ‘귀향을 보고 용기를 얻었다고 했다. 그래서 그 영화도 수많은 분들의 후원으로 만들어졌다고 했다”며 ‘아리랑은 민족의 노래로 혼과 한이 담겨있다. 이 영화를 통해 타지에서 돌아가신 수많은 영혼들이 고향으로 돌아와 따뜻한 밥 한술 뜨는 게 목표다. 그들의 한을 달래고 위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오는 9월 14일 개봉된다.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
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된 영화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 언론시사회에는 조정래 감독과 배우 강하나, 박지희 등이 참석했다.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2016년 개봉한 ‘귀향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나눔의 집에서 제공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 영상을 더해 만든 작품이다.
연출을 맡은 조정래 감독은 ‘귀향, 소녀들의 이야기는 많은 국민들이 도와주고 후원해주신 영화다. 지난 1년 반 동안 전 세계 10개 나라, 61개 도시를 돌면서 상영회를 했다. 9만2000회가 넘는 상영회를 하면서 외국인들이 많은 눈물을 흘렸다. 특히 반성하는 일본인도 많이 만났다”면서 많은 충격을 받은 외국인들이 ‘이것이 정말 사실이냐는 질문을 많이 던졌다. 그때부터 저희는 이번 영화를 준비해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와 끔직한 고통들이 모두 사실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전 세계 알리기 위해 만들게 됐다”며 영화 제작 계기를 밝혔다.
조 감독은 영화를 제작하는 동안 달라진 점에 대해 ‘귀향 본편 이후에 많은 분들이 알다시피 이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본편 당시 46명이 살아 계셨지만, 지금은 3명의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35명의 할머니만 살아계신다. 대부분이 거동도 불편하고, 말씀도 잘 못하신다. 오늘 오후에 있는 vip시사회에도 할머니가 오신다고 하는데, 사실 그 조차도 힘들다. 나눔의 집을 다녀온 이후로 나의 인생이 바뀌었다. 나는 오늘 이 자리에 영화감독으로서가 아니라, 나눔의 집의 할머니를 위한 봉사자중 한명으로 자리했다.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사명이다. 일본은 정말 반드시 사죄하길 바란다. 당신들의 미래 후손을 위해서라도”라고 말했다.
배우 강하나는 이번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제가 연기 했던 정민이가 마지막에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이 가장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 장면을 보면서 부디 타향에서 돌아가신 소녀의 영혼이 모두 고향집으로 돌아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마음을 많이 하게 됐다. 그래서 그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옥선 할머니가 ‘거기는 위안소가 아니라 사람을 잡는 사형소와 같았다라고 말씀하셨는데 큰 충격을 받았다. 그 당시 위안소에서 있었던 일들이 얼마나 잔인하고 끔찍했을까 라는 생각을 하니까 마음이 아팠다”고 덧붙였다.
박지희는 앞으로 이 땅에 전쟁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많이 알려져서 많은 관심을 받고 앞으로도 근본적 해결이 될 수 있도록 길잡이같은 역할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조정래 감독 사진=DB
조정래 감독은 나도 영화를 연출하며 고통스러웠다. 할머니들의 말씀을 듣고 과거의 일들에 충격을 받았다. 할머니들께서 성적인 학대와 폭행을 당했는데, 살아 돌아오지 못하신 분들이 너무 많았다. 14년간 이 영화를 만들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남자 감독으로서 이걸 만들 자격이 있느냐는 것이었다. 그래서 고통스러웠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할머니들께서 겪으신 일을 문화적 증거로 남기기 위해 최소한의 표현을 해야 했다. 영화를 가장 먼저 ‘나눔의 집 할머니들께 보여드렸는데 많이 떨렸다. 할머니들께서 고통스러워하실 거라 생각했는데, 이옥순 할머니께서 우리들에게 장면마다 해설을 해주셨다. 할머니께서 영화를 보시고 ‘이 영화는 내가 겪은 것의 1/100도 표현하지 못했다고 하셨다. 그 이후에 할머니와 함께 증언회와 영화 상영회를 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들어하실 관객들에게 감독 개인으로서 죄송하다는 말씀도 드리고 싶다”고 전했다.
또한 조 감독은 하지만 당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 영화를 보실 때 여성의 몸을 보지 마시고 고통의 순간을 알아 달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영화 속에서 ‘아리랑을 부르는 장면을 삽입한 이유에 대해 얼마 전에 중국에 다녀왔다. 흥행 돌풍을 일으킨 ‘22라는 영화를 대만에서 봤다. 그 안에는 조선에서 끌려가서 고향에 돌아오지 못한 박차순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놀랍게도 구오커 감독이 아리랑 전곡을 실어줬다. 그 분께서 길을 잃고 헤매고 있을 때 ‘귀향을 보고 용기를 얻었다고 했다. 그래서 그 영화도 수많은 분들의 후원으로 만들어졌다고 했다”며 ‘아리랑은 민족의 노래로 혼과 한이 담겨있다. 이 영화를 통해 타지에서 돌아가신 수많은 영혼들이 고향으로 돌아와 따뜻한 밥 한술 뜨는 게 목표다. 그들의 한을 달래고 위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오는 9월 14일 개봉된다.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