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정책 리스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가 '약정할인율 상향 조정'에 이어 '보편요금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제도가 시행되면 통신 3사의 연간 매출이 2조원 넘게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신정부 들어 요금 인하 방안이 연달아 발표되자 통신사 주가도 맥이 풀린 듯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편요금제 도입을 포함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다음달 15일부터 시행되는 '약정할인율 상향 조정'(20%->25%)과 11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취약계층 요금감면에 이은 세 번째 요금인하 방안이다.
보편요금제는 2만원 요금으로 1기가바이트(GB)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다. 현재 최저요금제(2만9900원)보다 1만원 가량 싸고, 3만5000원대 차상위 요금제와 비교해 데이터 제공량이 비슷하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3만6000원 이하 요금제 가입자가 보편요금제로 갈아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통신 3사의 연간 매출이 2조2000억원 감소할 것"이라며 "보편요금제는 요금할인율 상향 및 취약계층 요금감면 방안과 비교해 통신사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4~5배 커 시행에 논란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면서 통신 3사의 주가도 최근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통신 3사의 주가는 9% 가량 빠졌다. SK텔레콤의 주가는 5.3% 하락했고, KT와 LG유플러스 주가는 각각 10.5%, 11.2% 내려 앉았다.
양종인 연구원은 "연이은 요금할인 정책 발표로 규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통신주에 대해 보수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보편요금제는 오는 12월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전망이다.
[김대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