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용득 의원과 임청각 간 상관관계는 무엇? 독립운동가 후손 재조명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식서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석주 이상룡 선생의 본가인 '안동 임청각'을 언급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석주 선생의 후손이 민주당 이용득 의원이라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청각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되돌아봐야 할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을 사라지게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99칸의 저택이던 임청각은 일제의 보복으로 반 토막이 났으며 집 한가운데로 철도가 관통하게 됐습니다.
임청각은 광복 72주년을 맞이한 오늘날에도 제 모습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광복 후 친일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우리 사회에 불의와 타협을 정당화하는 왜곡된 가치관이 만들어졌다고 말하며 우리나라 보훈 실태에 일침을 놓았습니다.
같은 날 추 대표는 "촛불로 세운 국민의 나라에서 처음 맞는 8.15 경축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 독립운동가 후손의 3대의 고초를 언급했다"며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그는 "99칸 종택을 팔아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항일 의병을 길렀으나 일제의 보복으로 종택 한 가운데로 철도를 놓아 훼손하고 그 후손들은 고아원을 전전할 정도로 가난에 시달렸다는 슬픈 이야기의 주인공은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 선생이다"라며 "그 손자가 노동과 야학으로 젊은 시절 어렵게 견디어내고 노동자의 대변인이 된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고생하신 부모님에 대한 회한이 유달리 많으신 분이다"라며 "이제 나라가 명예롭게 해드릴 것이다. 더욱 건강하시고 많은 활약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같은 친일청산의 의지는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적폐청산과도 맥이 닿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독립유공자의 3대까지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의 치료와 예우를 강화하는 한편, 순직 군인과 경찰, 소방공무원 유가족에게까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것이 '나라다운 나라'라는 문 대통령의 소신이 읽히는 대목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식서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석주 이상룡 선생의 본가인 '안동 임청각'을 언급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석주 선생의 후손이 민주당 이용득 의원이라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청각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되돌아봐야 할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을 사라지게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99칸의 저택이던 임청각은 일제의 보복으로 반 토막이 났으며 집 한가운데로 철도가 관통하게 됐습니다.
임청각은 광복 72주년을 맞이한 오늘날에도 제 모습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광복 후 친일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우리 사회에 불의와 타협을 정당화하는 왜곡된 가치관이 만들어졌다고 말하며 우리나라 보훈 실태에 일침을 놓았습니다.
같은 날 추 대표는 "촛불로 세운 국민의 나라에서 처음 맞는 8.15 경축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 독립운동가 후손의 3대의 고초를 언급했다"며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그는 "99칸 종택을 팔아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항일 의병을 길렀으나 일제의 보복으로 종택 한 가운데로 철도를 놓아 훼손하고 그 후손들은 고아원을 전전할 정도로 가난에 시달렸다는 슬픈 이야기의 주인공은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 선생이다"라며 "그 손자가 노동과 야학으로 젊은 시절 어렵게 견디어내고 노동자의 대변인이 된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고생하신 부모님에 대한 회한이 유달리 많으신 분이다"라며 "이제 나라가 명예롭게 해드릴 것이다. 더욱 건강하시고 많은 활약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같은 친일청산의 의지는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적폐청산과도 맥이 닿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독립유공자의 3대까지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의 치료와 예우를 강화하는 한편, 순직 군인과 경찰, 소방공무원 유가족에게까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것이 '나라다운 나라'라는 문 대통령의 소신이 읽히는 대목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