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값 75주만에 하락 반전
역대 최고 강도의 부동산대책으로 평가받는 8·2 부동산 대책 여파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요 과열지역의 아파트값 고공행진에 '급제동'이 걸렸다. 예상보다 강력한 대책에 예견된 결과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8·2 대책의 영향이 기존 주택시장에 존재하던 악재들과 맞물리면서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경착륙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1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변동률(7일 기준)이 -0.03%로 하락 전환했다. 특히 최근 급등하던 지역 중심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지난주 0.4% 급등했던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4구는 0.11% 하락했다. 주요 단지 재건축이 몰려 있는 강남4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청약시장에 돈이 몰리고 재건축아파트 호가가 뛰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11·3 대책과 올해 6·19 대책에서 강남4구의 집값을 잡으려 했으나 오르기만 하다가 이번에 이들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으로 지정하자 급등세가 멈췄다. 특히 투기과열지구에 포함된 규제 중 재건축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가 투자자들 심리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보인다.
강남4구 외에는 성동구가 -0.2%로 가장 하락폭이 컸다. 성동구는 서울숲 인근 성수동이 고급 부촌으로 변신하고 있는 데다 정비사업이 활발해 최근 마포, 용산과 함께 '마용성'으로 불리며 주목받았다. 오름폭이 가팔랐던 만큼 단기적인 충격도 큰 것으로 풀이된다. 마포·용산구도 0.2% 넘던 상승세가 0.03%로 줄었다.
광운대역세권 개발 호재로 한동안 강북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이어가던 노원구도 지난주 0.35% 상승에서 이번주 0.01% 하락세로 돌아섰다. 노원구는 절대 집값은 아직 서울 평균보다 비싼 편은 아니지만 최근 상승세가 급했던 탓에 강남4구, 마포·용산·성동·양천·영등포·강서구와 함께 투기지역으로 지정됐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도 지난주 0.19%에서 0.02%로 급감했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거나 과거 청약조정지역으로 지정됐던 곳을 중심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0.39% 올랐던 과천은 보합으로 돌아섰고, 성남시 분당구는 지난주 0.64%였던 상승폭이 0.19%로 줄었다. 성남은 이번에 투기과열지구에는 포함되지 않아 풍선효과가 예상되던 지역이다. 성남과 함께 청약조정지역인 하남, 고양, 광명, 남양주도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평택은 이번 대책으로 별다른 규제를 받지는 않지만 0.03% 상승에서 0.14% 하락세로 돌아섰다. 만성적인 미분양 우려가 기존 분양자들의 대출 상황과 맞물려 주택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방은 0.02% 상승에서 보합으로 전환했지만 충격은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났다. 투기과열지구에서 제외된 부산은 상승률이 0.1%에서 0.03%로 줄었고, 투기과열지구인 세종도 0.27%에 달했던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고 보합으로 돌아섰다.
같은 날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아파트 시세도 한국감정원 통계와 방향은 같았지만 등락폭은 다소 차이가 났다. 지난 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상승률은 0.08%로 전주(0.37%) 대비 상승폭이 대폭 줄기는 했지만 하락하지는 않았다. 강남 4구 역시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선 한국감정원 통계와 달리 강남·송파·강동구는 0.05~0.08% 수준 상승세를 유지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대책 발표 후 관망세로 거래량 자체가 워낙 적어졌기 때문에 지금 발표되는 시세를 완전히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8·2 대책이 중장기적으로 시장 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투자솔루션부 수석전문위원은 "하반기 금리 인상이나 입주 물량 확대 등 변수가 있어 중장기적으로 하락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세시장에서도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금은 0.01% 오르며 전주와 유사한 등락폭을 유지한 반면 서울 전세금 상승률은 0.08%에서 0.02%로 줄었다.
[정순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역대 최고 강도의 부동산대책으로 평가받는 8·2 부동산 대책 여파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요 과열지역의 아파트값 고공행진에 '급제동'이 걸렸다. 예상보다 강력한 대책에 예견된 결과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8·2 대책의 영향이 기존 주택시장에 존재하던 악재들과 맞물리면서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경착륙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1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변동률(7일 기준)이 -0.03%로 하락 전환했다. 특히 최근 급등하던 지역 중심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지난주 0.4% 급등했던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4구는 0.11% 하락했다. 주요 단지 재건축이 몰려 있는 강남4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청약시장에 돈이 몰리고 재건축아파트 호가가 뛰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11·3 대책과 올해 6·19 대책에서 강남4구의 집값을 잡으려 했으나 오르기만 하다가 이번에 이들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으로 지정하자 급등세가 멈췄다. 특히 투기과열지구에 포함된 규제 중 재건축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가 투자자들 심리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보인다.
강남4구 외에는 성동구가 -0.2%로 가장 하락폭이 컸다. 성동구는 서울숲 인근 성수동이 고급 부촌으로 변신하고 있는 데다 정비사업이 활발해 최근 마포, 용산과 함께 '마용성'으로 불리며 주목받았다. 오름폭이 가팔랐던 만큼 단기적인 충격도 큰 것으로 풀이된다. 마포·용산구도 0.2% 넘던 상승세가 0.03%로 줄었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도 지난주 0.19%에서 0.02%로 급감했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거나 과거 청약조정지역으로 지정됐던 곳을 중심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0.39% 올랐던 과천은 보합으로 돌아섰고, 성남시 분당구는 지난주 0.64%였던 상승폭이 0.19%로 줄었다. 성남은 이번에 투기과열지구에는 포함되지 않아 풍선효과가 예상되던 지역이다. 성남과 함께 청약조정지역인 하남, 고양, 광명, 남양주도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평택은 이번 대책으로 별다른 규제를 받지는 않지만 0.03% 상승에서 0.14% 하락세로 돌아섰다. 만성적인 미분양 우려가 기존 분양자들의 대출 상황과 맞물려 주택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방은 0.02% 상승에서 보합으로 전환했지만 충격은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났다. 투기과열지구에서 제외된 부산은 상승률이 0.1%에서 0.03%로 줄었고, 투기과열지구인 세종도 0.27%에 달했던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고 보합으로 돌아섰다.
같은 날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아파트 시세도 한국감정원 통계와 방향은 같았지만 등락폭은 다소 차이가 났다. 지난 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상승률은 0.08%로 전주(0.37%) 대비 상승폭이 대폭 줄기는 했지만 하락하지는 않았다. 강남 4구 역시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선 한국감정원 통계와 달리 강남·송파·강동구는 0.05~0.08% 수준 상승세를 유지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대책 발표 후 관망세로 거래량 자체가 워낙 적어졌기 때문에 지금 발표되는 시세를 완전히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8·2 대책이 중장기적으로 시장 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투자솔루션부 수석전문위원은 "하반기 금리 인상이나 입주 물량 확대 등 변수가 있어 중장기적으로 하락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세시장에서도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금은 0.01% 오르며 전주와 유사한 등락폭을 유지한 반면 서울 전세금 상승률은 0.08%에서 0.02%로 줄었다.
[정순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