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영화 '군함도'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일본, 북한의 다양한 반응이 눈길을 끈다.
개봉 이전부터 이 작품을 경계해온 국가는 일본이다. 지난 2월 8일 일본의 유력 매체 '산케이 신문'은 1면 머리기사로 "영화 '군함도'는 거짓, 날조됐다"며 "소년 광부는 존재하지 않았다. '군함도'는 하시마섬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반대하는 운동의 일환"이라며 맹비난을 쏟아냈다.
이에 류승완 감독은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군함도'는 철저히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고 만들었다. 일본은 과거사가 드러나면 불리해지기 때문에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 밝은 것과 어두운 것 모두를 떳떳하게 드러냈을 때 문화유산으로서 정말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지난달 26일 '군함도'가 국내 개봉하면서 일본의 반응은 한층 거세졌다. '산케이 신문'은 개봉 바로 다음날인 27일 다시 1면 머리기사로 '군함도' 개봉 소식을 전하면서 영화가 역사적 사실을 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산케이 신문은 "조선인 징용공(강제징용노동자)이 갱도 내부에서 사망하는 장면이 있고 조선인에 대한 살해 장면이 극히 잔혹하게 묘사돼 있다. 조선인 여성이 유곽으로 강제로 보내지거나 욱일기(전범기)를 찢는 장면도 있어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강하게 자극하는 작품"이라고 전했다.
또한 '군함도' 말미에 흐르는 "현재 일본 정부는 2017년 12월까지 강제 징용을 포함한 각 시설의 역사적 사실을 알려야 한다는 유네스코 권고사항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의 자막을 두고 정치적 호소가 강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까지 나섰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감독 자신도 창작된 이야기라고 말했다.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기록영화는 아니다"라며 "징용공 문제를 포함해 한일 간의 재산청구권 문제는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27일 외교부는 "군함도에서 과거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 강제로 노역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조준현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이 영화는 감독이 밝힌 바와 같이 실제 역사적 사실로부터 영감을 받아서 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는 일본 정부가 조치를 성실하고 조속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격화되자 류승완 감독은 일본 정부와 일부 언론 매체들에 입장을 밝혔다. 감독은 28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일본 내 일부 매체와 정부 관계자까지 나서 '군함도'가 사실이 아니고 마치 허구로만 이뤄진 창작물인 양 평가 받고 있다는 보도를 접했다"며 "저의 발언 중 '실제 역사를 모티브로 했다'는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창작물'이라는 워딩만 왜곡해 편의대로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CCTV'에서는 '군함도'를 두고 "항일대작"이라고 극찬하며 집중 보도했다.
'CCTV'는 지난달 28일 아침 뉴스에서 영화 '군함도'와 관련해 영화 줄거리, 출연진, 관객반응, 논평 등을 5꼭지에 걸쳐 심층 보도했다. 방송은 영화 내용에 그치지 않고 2차 세계 대전 독일과 일본의 태도를 비교하는 등 일본 정부의 과거사에 대한 반성 없는 태도를 비판하기에 이르렀다.
'신화통신'도 개봉 전인 지난달 24일 논평을 통해 "일본이 '군함도'에서 저지른 죄악을 공개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중일 3국이 영화 '군함도'를 둘러싼 반응을 내놓자 북한도 뒤늦게 가세했다. 북한의 대외 선전용 매체인 '메아리'는 지난 3일 '영화 군함도와 민족의 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군함도'흥행은 일본 반동들에 대한 민족의 분노"라며 군함도와 같은 과거의 전철을 다시 밟지 않으려면 핵무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을 펴기도 했다.
'군함도'는 일제 강점기, 일본 군함도(하시마, 군함 모양을 닮아 군함도라 불림)에 강제 징용된 후 목숨을 걸고 탈출을 시도하는 조선인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역대 최고의 오프닝 신기록(97만 명), 2017년 최단 기간 500만 관객 돌파 등 흥행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jeigun@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화 '군함도'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일본, 북한의 다양한 반응이 눈길을 끈다.
개봉 이전부터 이 작품을 경계해온 국가는 일본이다. 지난 2월 8일 일본의 유력 매체 '산케이 신문'은 1면 머리기사로 "영화 '군함도'는 거짓, 날조됐다"며 "소년 광부는 존재하지 않았다. '군함도'는 하시마섬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반대하는 운동의 일환"이라며 맹비난을 쏟아냈다.
이에 류승완 감독은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군함도'는 철저히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고 만들었다. 일본은 과거사가 드러나면 불리해지기 때문에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 밝은 것과 어두운 것 모두를 떳떳하게 드러냈을 때 문화유산으로서 정말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지난달 26일 '군함도'가 국내 개봉하면서 일본의 반응은 한층 거세졌다. '산케이 신문'은 개봉 바로 다음날인 27일 다시 1면 머리기사로 '군함도' 개봉 소식을 전하면서 영화가 역사적 사실을 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산케이 신문은 "조선인 징용공(강제징용노동자)이 갱도 내부에서 사망하는 장면이 있고 조선인에 대한 살해 장면이 극히 잔혹하게 묘사돼 있다. 조선인 여성이 유곽으로 강제로 보내지거나 욱일기(전범기)를 찢는 장면도 있어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강하게 자극하는 작품"이라고 전했다.
또한 '군함도' 말미에 흐르는 "현재 일본 정부는 2017년 12월까지 강제 징용을 포함한 각 시설의 역사적 사실을 알려야 한다는 유네스코 권고사항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의 자막을 두고 정치적 호소가 강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까지 나섰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감독 자신도 창작된 이야기라고 말했다.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기록영화는 아니다"라며 "징용공 문제를 포함해 한일 간의 재산청구권 문제는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27일 외교부는 "군함도에서 과거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 강제로 노역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조준현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이 영화는 감독이 밝힌 바와 같이 실제 역사적 사실로부터 영감을 받아서 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는 일본 정부가 조치를 성실하고 조속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격화되자 류승완 감독은 일본 정부와 일부 언론 매체들에 입장을 밝혔다. 감독은 28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일본 내 일부 매체와 정부 관계자까지 나서 '군함도'가 사실이 아니고 마치 허구로만 이뤄진 창작물인 양 평가 받고 있다는 보도를 접했다"며 "저의 발언 중 '실제 역사를 모티브로 했다'는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창작물'이라는 워딩만 왜곡해 편의대로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CCTV'에서는 '군함도'를 두고 "항일대작"이라고 극찬하며 집중 보도했다.
'CCTV'는 지난달 28일 아침 뉴스에서 영화 '군함도'와 관련해 영화 줄거리, 출연진, 관객반응, 논평 등을 5꼭지에 걸쳐 심층 보도했다. 방송은 영화 내용에 그치지 않고 2차 세계 대전 독일과 일본의 태도를 비교하는 등 일본 정부의 과거사에 대한 반성 없는 태도를 비판하기에 이르렀다.
'신화통신'도 개봉 전인 지난달 24일 논평을 통해 "일본이 '군함도'에서 저지른 죄악을 공개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중일 3국이 영화 '군함도'를 둘러싼 반응을 내놓자 북한도 뒤늦게 가세했다. 북한의 대외 선전용 매체인 '메아리'는 지난 3일 '영화 군함도와 민족의 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군함도'흥행은 일본 반동들에 대한 민족의 분노"라며 군함도와 같은 과거의 전철을 다시 밟지 않으려면 핵무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을 펴기도 했다.
'군함도'는 일제 강점기, 일본 군함도(하시마, 군함 모양을 닮아 군함도라 불림)에 강제 징용된 후 목숨을 걸고 탈출을 시도하는 조선인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역대 최고의 오프닝 신기록(97만 명), 2017년 최단 기간 500만 관객 돌파 등 흥행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jeigun@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