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반려인구 천만시대…동물 진료비는 여전히 '부르는 게 값'
입력 2017-07-28 09:58  | 수정 2017-07-28 13:16
【 앵커멘트 】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천만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동물병원 진료비는 딱히 표준화된 기준이 없어 '부르는 게 값'입니다.
얼마나 다른지, 한민용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 기자 】
10살 된 수컷 반려견입니다.

몇 개월 전부터 자주 숨을 헐떡이고 털이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동물병원 여러 곳을 찾았더니 모두 반려견 상당수가 걸린다는 쿠싱 증후군을 지목했지만, 정작 검사 방법과 비용이 다 달랐습니다.」

▶ 인터뷰 : 반려견 주인
- "10년 넘게 가족처럼 키웠는데, 가는 병원마다 다 다르게 얘기하고, 그래서 얘를 어떻게 치료해야 좋을지…."

얼마나 다른지 실제 반려견을 데리고 병원들을 돌아봤습니다.

처음 찾은 병원에선 검사는 혈액검사면 충분하다며 싸게 해주겠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A 동물병원
- "피검사 한 번 해봐. 그게 7만 원이거든? 다른데 가면 14만 원씩 받아."

다른 병원에선 다른 검사도 받아야 한다며 3배가 넘는 비용을 부릅니다.

▶ 인터뷰 : B 동물병원
- "혈액검사 비용은 13만 원 들어가고, 쿠싱 따로 검사하는 비용은 10만 원 정도…."

또 다른 병원에선 검사에만 50~60만 원이 들고, 지역마다 진료비가 천차만별이라는 설명도 나옵니다.

▶ 인터뷰 : C 동물병원
- "수술비도 다르고, 진찰비도 다르고, 다 달라요. 강남에선 수술 하나 하면 2백만 원씩 받았는데 여기(강북)에선 1백만 원도 못 받거든요, 사실."

이렇게 병원마다 진료비가 다 다른 건 표준화된 진료비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과거 동물 진료비는 표준 기준이 있었지만, 1999년 정부가 경쟁을 통해 진료비를 내리겠다며 없앤 게 화근이 됐습니다.」

▶ 인터뷰 : 박소연 / 동물권단체 케어 대표
- "부담스러운 진료비 때문에 동물을 방치하거나 혹은 치료를 좀 하다가 결국은 포기해서 유기하는…, 적정수가를 만들어 놓는 것이…."

반려동물 가구 천 만 시대.

부르는 게 값이라는 소비자 불만을 잠재우려면 우선 진료비 표준 기준부터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한민용입니다.[myhan@mbn.co.kr]

영상취재 : 양현철 기자
영상편집 : 이유진
MBN APP 다운로드